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e-폐기물 내 금속의 친환경 회수기술

전문가 제언

 

e-폐기물에서 금속 회수는 자원순환과 환경적 관점에서 볼 때 국가적 차원뿐만 아니라 글로벌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e-폐기물 회수 단계에서 낙후된 회수 기술 적용 때문에 심각한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e-폐기물의 금속 회수에 적용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기술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e-폐기물에는 농축된 금속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e-폐기물에서는 고품위 광석에 비해 금속 순도가 높다. 고 순도 상태의 금, , 팔라듐, 인듐, 구리, 아연, 알루미늄 등이 폐기된 텔레비전, 컴퓨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프린터, 핸드폰, PCBs 등에서 발견된다. 특히, 귀금속으로는 핸드폰의 폐 PCBs에 금과 은, LCD에 인듐 등이 있다.

 

e-폐기물에서부터 자원의 환경친화적 회수기술 가운데에는, 금속 회수와 비금속 제거용 화학적 침출 기술, 귀금속 회수용 바이오침출 기술, 금속 회수용 물리적 또는 기계적 활성화 방법, 금속과 비금속 회수용 저임계수 산화 기술 등이 있다. 물리적 분리 기술로는 자력선별(MS), 와전류분리(ECS), 기류분리(ACS; air current separation), 코로나정전분리(CES), 진공야금분리(VMS), 거품 부양(FF; froth flotation) 등이 있다.

 

회수 금속의 부가가치 향상 기술로는 초임계 유체 분류(fractionation), 전자기(electromagnetic) 분리 등이 있다. 초임계 유체 분류 기술에서는 e-폐기물에서 귀금속을 회수한다. 전자기 분리 기술에서는 e-폐기물에서부터 회수된 용융 상태 금속에 있는 불순물을 제거한다.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e-폐기물 내 금속 회수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2016년에 강원대학교에서 폐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물리적 분리 방법으로 부품을 분리, 이 부품으로부터 화학적 침출 방법으로 금속 성분을 침출, 침출된 금속 성분으로부터 시멘테이션 기법으로 금속 성분을 회수하는 기술을 연구하였다. 향후에는 다양한 물리적 분리 기술들(: MS, ECS, ACS, VMS, FF)의 조합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회수 기술이 탐색되어야 한다.

저자
Ruan J and Xu Z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45~760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