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뿌리혹선충의 다양한 생물학적 방제효과
- 전문가 제언
-
○ 오이는 박과에 속하는 식물로 인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3,000년 전부터 재배되어 왔으며, 사람의 이뇨 및 해독작용 효능이 있고 충혈된 눈의 완화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재배 시 발생하는 주용 병에는 흰가루병, 노균병, 잿빛곰팡이병 등이 있다. 토양해충 중 선충류는 연작장해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여러 선충류 중에서도 뿌리에 기생하여 혹을 형성하는 뿌리혹선충류는 우리나라 시설재배단지의 중요한 해충으로 각종 채소 및 화훼류에 피해를 주고 있다.
○ 뿌리혹선충은 풀과 나무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고 있는데, 몸길이 0.5 mm의 가늘고 길 유충은 뿌리의 표피에 침투한 후 몸길이 1.5 mm의 성충으로 성장하면서 뿌리에 혹을 형성하여 식물에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뿌리혹선충에 감염되면 식물체의 호르몬 기작을 교란시키고 세포분열의 이상이 초래되면서 양분과 수분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물성장을 방해하고 약해진 뿌리조직에 쉽게 병원균이 침투하여 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 생물조절제의 유효성분으로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조류 등이 포함되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미생물 조절제는 세균 Bacillus thuringiensis의 변종으로 배추, 감자 등의 작물에 피해를 주는 몇 몇 곤충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이 생물조절제는 단백질 독소를 생성하는데 이 단백질이 작물을 섭취하는 곤충의 소화기관에 해를 주면서 효능을 발휘하고 있는데 모든 생물조절제가 사람과 환경에 피해를 주는 문제가 아주 없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늘 새로운 조절제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 최근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뿌리혹선충의 유전정보분석을 통해 숙주 내 기생에 관여하는 37개의 유전자를 유추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고, 뿌리혹선충의 유전자 기능규명에 대한 연구결과들도 발표하고 있다. 연작에 의해 발생하는 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토양에 대한 객토, 윤작, 담수, 태양열 소독 등의 친환경 방제를 실시하거나 뿌리혹선충을 억제하는 식물로 알려진 메리골드, 금잔화 등으로 토비를 만들어서 살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 저자
- Wen-Kun Huang, Jiang-Kuan Cui, Shi-Ming Liu, Ling-An Kong, Qing-Song Wu, Huan Peng, Wen-Ting He, Jian-Hua Sun, De-Liang Pe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92()
- 잡지명
- Biological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1~37
- 분석자
- 황*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