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술폰산 폴리머, 소수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실리콘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화장품 조성물

전문가 제언

모발을 클렌징 및 세정하기 위해 표준적인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 특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본질적으로 베이스로 하는 모발의 세정용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민감화된 모발에 적용되는 화장품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컨디셔너로 알려져 있는 화장품용 약제를 이들 조성물에 도입하는 것이 현재 일반화되어 있으며, 이들 컨디셔너는 모발의 섬유가 공격받는 유해한 영향을 회복, 제한하는 것이다. 이들 컨디셔너는 물론 모발의 미용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컨디셔너는 양이온성 폴리머, 실리콘류 및 실리콘 유도체이며, 양호한 유연성을 나타낸다.

유중수형 유화화장료는 파운데이션, 선스크린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수중유형 유화화장료에 비해 도포 시에 유성감을 느끼고, 보존안정성이 떨어지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수용성 고분자를 배합함으로써 이들 결점의 해소가 시도되고 있으나 충분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 발명의 청구범위는 생리학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수성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술폰산기,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체인으로 변성된 폴리사카라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산 폴리머, 옥시에틸렌화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사카라이드와 실리콘 계면활성제 및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품용 조성물은 2002년부터 출원되어 왔으며, 일본의 Hakuto Co., Kanebo Ltd., Kao Corp., Lion Corp., 독일의 Henkel AG & Co., 및 L'oreal 등이 출원하고 있으나 술폰산계 폴리머를 사용하는 방법은 L'oreal뿐이다. 현재 L'oreal의 특허는 미국, 프랑스, 세계특허에 출원되어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아직 출원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이 특허가 공고되는 것을 유심히 관찰하고 조성물 중의 일부를 치환하는 방법 등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저자
L'oreal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213599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