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주조 빌릿으로 복잡한 자동차 부품 크랭크샤프트를 단조 생산하는 방법
- 전문가 제언
-
○ 선박, 산업기계, 발전기 및 항공기 등의 대형 부품에는 자유단조품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일 제품을 자유단조와 형단조로 생산할 경우 일반적으로 형단조 생산이 여러 면에서 유리하다. 우선 품질면에서 우수하다. 형단조는 자유단조에 비해 소재가 고압상태에서 변형되기 때문에 기공의 압착과 소성유동선도의 치밀도 등에서 유리하며 생산 측면에서도 경제적이나 문제는 제품 크기가 제한된다는 점이다.
○ 이 발명은 자동차용 크랭크샤프트 제조과정에서 단조공정에서 요구하는 크기의 연주 빌릿을 사용함으로서 조압연과 분괴 압연을 생략하는 방법이다. 적절한 단조 설계로 내부 기공과 중심의 성근 조직을 접합시켜 일반 공법으로 생산된 제품과 피로강도, 기계적 성질 및 금속학적으로 차이가 없는 제품을 생상 할 수 있는 공법이다.
○ 제조공정 중에 조압연이나 분괴압연을 하지 않아 가열을 줄여 경제적으로도 경쟁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가열작업이 없어 온실 효과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줄어 환경보호에도 이바지된다.
○ 국내에서도 열처리를 하지 않고 생산할 수 있는 비조질강이 개발되었고 이 비조질강으로 크랭크샤프트를 생산할 수 있는 특허가 공개되어 있다. 10-2011-0139530(2011-12-29)로 공개된 이 특허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공동으로 출원한 것으로 단조 크랭크샤프트 조성시 바나듐(V) 원소을 제거하는 한편, 니오븀(Nb)을 참가하여 황화망간(MnS) 개재물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황화망간(MnS) 개재물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 10-2014-0042099 (2014-04-07)로 공개된 크랭크샤프트 제조방법은 현대제철에서 공개한 특허로 봉재를 단조하여 크랭크샤프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도 크랭크샤프트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되고 있으나 여기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연구가 없어 연주를 빌릿을 사용하는 이 방법은 검토할 가치기 있다고 사료된다.
- 저자
- BHARAT FORGING LIMITE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2720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7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