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통신사업자의 업무를 지원하는 빅 데이터 분석기반

전문가 제언

   ○ 통신 사업자는 가입자 일 인당 매출 향상을 위해서는 통신 인프라 개선(네트워크 및 기지국 배치의 개선) 노력뿐만 아니라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즉 가입자 각각의 취미·기호에 맞는 서비스를 신속하고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분석 전문가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 자신이 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데이터와 각 서비스 분석을 직관적으로 신속하게 실시하여 서비스 창출·개선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 서비스를 고객 개개인에 맞추기 위해서는 사내외의 방대한 데이터에서 필요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취사선택하여 목적에 맞는 분석을 하고 그 결과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욱 신속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서비스 지식 및 경험을 가진 서비스 제공자가 신속하게 자신이 보고 싶은 관점에서 분석하는 셀프서비스형 BI(Business Intelligence)가 필요해 지고 있다. 문헌에서는 이 셀프서비스형 BI 도입부터 정착까지 일련의 방법을 소개한다.

 

   ○ 세계적인 ICT 업체인 SAS, Tableau Software, IBM과 일본의 주요 ICT 기업들은 전통적인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외에 축적된 분석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셀프서비스형 분석 솔루션과 이를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하여 세계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국내도 다원컨설팅 등 몇몇 회사가 일부 셀프서비스형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으나 국내 수준은 외국 선진 업체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 셀프서비스형 BI 활용이 기업의 영업 부문이 나 제조 부문의 일상 업무 에도 도입되어 신속한 고객 서비스, 현장혁신, 업무 최적화를 실현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 활성화의 중요한 방법으로 셀프서비스형 BI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도 이 문헌을 참조하여 셀프서비스형 BI 도구를 도입하여 적극적인 빅 데이터 분석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ICT 관련 산학연이 협력하여 셀프서비스 형 BI 도구 개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자
Takeda Kimik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68(3)
잡지명
NEC 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04~108
분석자
신*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