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살인로봇

전문가 제언

살인 로봇(killer robot)의 위협에 대한 논쟁의 중점은 로봇무기가 세계전쟁을 일으켜 인류를 파멸한다는 주장과 로봇무기가 전쟁을 억제하여 사상자를 감소시키는 새로운 정밀무기라는 주장과의 충돌이다. 이러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으며 금년 12월 유엔 산하 비무장회의에서 이 논쟁에 대한 다양한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군은 전투효율 향상을 위하여 육군 해군 공군무기체계의 무인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폭탄과 지뢰제거, 무인선박, 드론과 같은 방어용 로봇무기는 군인의 위험업무를 대신하여 인력손실을 방지하며 정보수집의 은닉화를 구현하여 전 평시 전술전략 작전수립을 용이하게 한다.

살인로봇을 비롯한 공격형 로봇무기는 핵무기처럼 인류에게 미치는 치명도가 높아 윤리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많은 위협이 상존하는 우리군의 전략 환경에서 전쟁 시 최종 승리를 위해 자율무기의 운용여부를 검토 할 시점이다.

 

미군은 무인체계를 이용한 새로운 전쟁개념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인공지능과 로봇기술 수준이 미흡하여 이러한 체계를 무기화하려는 의도는 아직 불투명하지만 전장에서 자율무기의 요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한 무기체계가 완전한 자율성을 갖고 운용되어 미래 전쟁역사의 새로운 분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방산 업체인 도담시스템이 개발한 무인 감시로봇(Super aEgis-2)은 자동소총을 탑재하여 3km 까지 인간표적의 자동 탐지 및 사격을 가능하게 한다. DMZ에서 장비 시험평가를 수행하여 중동에 수출함으로서 국내 자율무기의 기반기술을 축적하였다.

인류에게 치명적인 위협이 되는 자율 로봇무기 운용에 대한 논의는 자율무기가 개발되기 전에 자율무기의 위험성을 논의할 기회가 유엔차원에서 필요하다. 선진국의 자율무기 개발경쟁은 예측 불가능한 위협으로 진화되어 인류미래의 안전성을 더욱 불확실하게 한다.

저자
Erico Guizzo, Evan Ackerma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6
권(호)
53(6)
잡지명
IEEE spectrum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38~43
분석자
조*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