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이크로비옴과 항암 면역감시

전문가 제언

항암 면역반응은 바람직한 형태의 자가면역성으로서 이들은 체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비옴에 의하여 크게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연구 문헌들은 단편적인 관찰에 그치고 있는 실태이다. 문제는 현재 사회, 경제 보건적으로 중요성이 큰 암의 치료 및 치료 지원 작용에서 마이크로비옴 작용의 이론적 근거의 부족에 있다.

 

여기서 소개하는 레뷰는 이러한 현재까의 연구 도와는 다르게 마이비옴이 암에 대한 면역 제고 작용에 대한 기작의 수립에 역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레뷰는 이와 관련된 논문들을 정리해서 소개하고 있어 이 분야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마이크로비옴이 항암의 면역에 관여하는 기작으로서 미생물과 종양항원 형성과/혹은 생산물 자극 패턴인식 수용체 사이의 상호반응의 관계를 제기하고 있다. 마이크로비옴이 치료 유도 면역반응은 물론 자연면역감시에 영향을 주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함으로서 미생물을 보다 효과 있게 치료와 예방에 사용하는 길을 열러 줄 것으로 생각된다.

마이크로비옴 제품들의 작용성이 기작적으로 증명되는 경우,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다. 즉 기존의 항생제와 같은 의약품과는 다르게 마이비옴 제품들은 위험성이 낮은 특징을 갖는다. 추가하여 마이크로비옴 기초 치료제들은 인구의 미생물 보유 군에 따라서 분류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카들의 도입이 예상된다.

 

현재로서는 마이크로비옴 치료제들 시장은 미허가 의약품으로서 초기 단계에 있으며 이들 중에서 분미생물 이식(FMT)관련 제품이 유일한 치료 제품이다. 항암 면역제고 등의 기작이 규명되는 경우 시장은 폭팔적 증가가 가능할 것이다. 현재 미국 호주 등에서 130여개 회사/연구소가 관련 제품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저자
Laurence Zitvogel, Maha Ayyoub, Bertrand Routy and Guido Kroem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165()
잡지명
Cel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76~287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