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배양과 분석을 위한 바이오재료기반 미세유체기술
- 전문가 제언
-
○ 소개하는 레뷰는 근래 미래의 핵심 유망 기술 중의 하나인 미세유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바이재료들의 종류와 이들의 특성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미세유체기술은 현재 세포 생물학 연구를 혁신시킬 가능성이 있는 분야이다. 이는 미세유체기술 채널들이 생물세포의 물리적 크기에 적합하며 생물학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근래 세포배양과 이후의 처리, 분석을 위한 새로운 미세유체장치들의 디자인과 사용에서 큰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와 관련들 기술들 중에서 바이오재료들을 선택하고 이용하는 기술들은 가장 핵심 분야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많은 종류의 바이오 재료들은 마이크로유체기술에 적용하기에 유연성, 세포 부착성 등에서 장점들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레뷰에서는 이들 관련 최근 기술 동향과 연구 성과들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어 관계 연구인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미세유체기술을 생물학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보다 기능적이며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칩의 조직화와 기능화를 위한 우수한 바이오재료를 확보하는 것이 미세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핵심이 된다. 미세 환경에 사용되는 바이오재료들은 보다 다양하고 복잡하며 통합되어 점차적으로 폴리머(polymer)로 대체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 미세유체기술에서 적합한 바이오재료의 개발은 생물학, 암의 연구와 항암제의 효율적 스크린 그리고 항바이러스 물질의 선택 등에 돌파구를 만들 수 있는 분야이다. 보다 감도 높은 기능을 시험할 수 있는 바이오재료의 선택이 중요하다. 미세유체기술 자체의 전 세계의 시장 규모는 2020년까지 약 75억 미불로 예상되고 있다. 이 중에서 상당히 큰 비중이 핵심 부품으로서의 우수한 바이오재료의 개발에 있고 많은 관련 효과를 감안할 때, 보다 우수한 미세유체기술관련 바이오재료 개발에 관심을 가질 때이다.
- 저자
- Ruizhi Ning, FengWang, Ling Li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80()
- 잡지명
-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55~265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