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 탈기와 건식 혐기성 소화과정 돈분에서 효과적인 암모니아 회수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건식혐기성소화와 암모니아 탈기를 통한 돈분에서의 암모니아회수 연구이다.
○ 온도(25∼55℃), 총고형물 (TS, 20%∼35%) 및 초기 pH (7.0∼12.0) 등 여러 운전 조건이 유기성 질소 전환에 따른 암모니아 생산 및 8일 간의 시험 중 공정역학에 미치는 영향들을 평가했다.
○ 모든 실험 자료는 건식혐기성소화 과정 중의 유사 1차 반응속도 모델에 잘 일치했으며, 건식혐기성소화가 55℃, 총고형물 20% 및 초기 pH 10.0에서 실행되었을 때 최대유기질소 질량 전환율은 65.1%로 추정되었다.
○ 총 고형분 약 20%의 돈분에서 공기 탈기로 총 암모니아질소(TAN: Total Ammonia Nitrogen)의 90% 이상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었다.
○ 경기도 G-창업 프로젝트에 참가한 ES&T는 축산 폐수처리에 유용한 에너지 저감형 암모니아 탈기/흡수 장치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물속에 있는 이온 상태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암모니아 가스(NH₃)로 전환시켜 기체 상태로 제거하는 기술로 암모니아 가스를 인산염에 흡수시켜 액체비료를 만들어, 기존의 고농도 암모니아 폐수처리 기술이 지닌 고비용 체계를 극복했다고 한다.
○ 현대건설은 현대엔지니어링, 인천환경공단 등과 공동으로 관형 한외여과분리막을 결합하여 혐기소화액 처리 기술로 신기술 인증을 흭득했다. 이 기술은 음폐수를 섭씨 50도 이상의 고온에서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동시에 발생되는 암모니아를 회수해 복합액체비료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본 연구를 통해서 건식 혐기성 발효는 운전이 단순하고, 유기질소 전환율이 빠르고, 암모니아 생산수율이 높으며, 설치비가 저렴하기 때문에 축산분뇨에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유망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 저자
- Weiwei Huang, Ziwen Zhao, Tian Yuan, Zhongfang Lei,Wei Cai, Huifang Li, Zhenya Zh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90()
- 잡지명
- Biomass and Bio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9~147
- 분석자
- 진*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