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류혼합 스트리핑 공정에 의한 생분 소화액의 암모니아제거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 농가에서 발생되는 가축분뇨는 분과 뇨, 세척수가 함께 혼합된 형태로 배출되고 있어 고형물과 유기물 농도가 높고 C/N비가 낮은 특징을 보인다.
○ 가축분뇨의 혐기성 소화는 총고형물 농도에 따라 습식(TS 10% 미만), 건식(TS 10∼20%)혐기성 소화공정으로 구분되며, 소화조 내 혐기성 미생물의 최적 활성온도에 따라 중온(35∼40℃), 고온(55∼60℃) 소화공정으로 구분하고 있다. 고온소화공정은 10일 정도로 체류시간이 짧고 유기물 분해 및 안정화 측면에서 유리하나, 동절기 에 에너지비용 증가 및 탈리액 처리에서 불리하여 중온소화 공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 본 연구의 주목적은 분뇨 소화액의 암모니아 탈기를 최적화하여 농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적절한 기술을 제안함으로써 소화액 관리를 개선하고자 한다.
○ 그 첫 단계로, 탈기공정에서 최적의 화학물질 종류와 양을 pH와 온도 조정을 기초로 체계적으로 결정하였고, 이어서 화학약품 양에 대한 총 고형물 양과 완충용량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혐기성 슬러지의 탈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된 암모니아 탈기와 중화공정의 한계를 조사하였다.
○ 국내 음폐수 처리를 위해 설치된 혐기성 소화공정 적용 현황을 보면, 사업 대부분이 2009년 이후에 습식/중온소화공정이 집중 적용되고 있으나, 설계 운용기술이 확립되지 않아 설계부하에 못 미치는 효율을 보이고 있다.
○ 본 연구인 암모니아 탈기공정은 난류혼합을 기반으로 고형물 함량이 높은 생 분뇨 소화액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이 공정은 암모니아를 제거하는데 공정이 단순하고, 비용 효과적이어서 농업분야에 특별히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Alice Limoli, Michela Langone, Gianni Andreottol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76()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0
- 분석자
- 진*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