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기 갈색유리와 돼지 뼈를 재활용한 고강도 발포유리의 제조

전문가 제언

폐기물을 산업재료로 재활용하는 것은 환경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매우 유익하다. 예를 들면, 폐유리, LCD 패널유리, 소다석회 규산염 유리, 등이 발포유리, 경량재료, 콘크리트, 등에 재활용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 금속 슬래그나 비산회(fly ash) 등도 엔지니어링 재료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접근은 재료비나 제조원가를 낮추는 경제적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발포유리를 제조할 때는 유리 분말 외에 발포제로 SiC나 탄산칼슘을 사용한다. 또 융제는 NaNO3 NaB4O7, 그 외에 소량의 안정제를 사용한다. 본 문헌은 맥주병이라 부르는 앰버유리를 분쇄한 유리분말을 사용했다. 그리고 발포제는 식품회사에서 발생하는 돼지 뼈를 재활용했다. 이때 돼지 뼈의 함량이 발포유리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특히 발포유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주원료를 모두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얻었다.

 

발포유리는 가볍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흡수성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그 용도가 확대되어 건축용 단열재 외에, 냉장고의 보온·보냉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물 정화시설에 사용되는 여과장치에도 발포유리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경량식기를 만들기도 한다. 이것은 항공기의 기내 식기나, 고령자용 식기로 사용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산업 폐기물이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기물을 분리수거하고 있다. 이 제도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은 유리병은 세척하여 그 상태로 재활용한다. 파손된 유리병은 새 유리병을 제조할 때 일부 섞거나 도로포장용 시멘트 블록에 섞어서 사용한다. 환경부에서는 2011년도에 폐금속·유용자원 재활용개발사업단을 구성했다. 그리고 에코 이노베이션(Eco-Innovation)’ 사업을 수립하고, 2021년까지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세라믹기술원, 가천대학교, 선문대학교, 등에서 광산 폐기물, 파유리, LCD 유리 등의 산업 폐기물을 재활용한 연구도 있다.

저자
Y. Gong, R. Dongol, C. Yatongchai, A.W. Wren, S.K. Sundaram, N.P. Mellot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112()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534~4539
분석자
허*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