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도 가공과 고 품위?고 능률 가공을 위한 공구 기술
- 전문가 제언
-
○ 부품 제조의 절삭가공에는 주로 고체 재질의 공구를 사용한다. 절삭공구는 피 가공물에 대하여 높은 경도와 인성을 갖는 재질로 예리한 절삭 날을 갖는다. 때문에 피 가공물의 재질이나 절삭 조건에 따라 예리한 절삭 날은 무뎌진다. 이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절삭에 있어 중요한 포인트이다.
○ 예리한 절삭 날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날 끝, 여유면(relief face), 경사면(rake face)으로 구성되며, 경사면 은 절삭 칩이 통과하는 면이기 때문에 면의 거칠기가 가공 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준다. 피 가공물의 재질이 점차 난삭화 되고 있어 난삭재(초내열합금, 복합재료, 티타늄합금 및 스테인리스강, 초경합금, 교경도강, 소결재 등)에 대응한 최적인 절삭 조건(공구 형상, 재질, 날의 구성 등)의 확립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난삭재의 절삭가공 데이터베이스는 미미하다.
○ 난삭재의 고난도 가공에 있어 고 능률 가공을 위한 공구기술의 동향과 절삭가공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가공 예를 소개한 자료가 고난도가공과 고 품위?고 능률 가공을 위한 공구기술 보고이다. 여기서는 난삭재용 밀링공구(Luffing type Ball End mill, SiALON KYS 40)의 소개와, 난삭재의 초정밀?미세절삭용 cBN소결체, PCD(다이아몬드 소결체)미소 지름(지름 0.1mm 이하) 엔드밀을 개발 절삭 면의 거칠기를 나노미터 수준까지 실현이 가능한 절삭 날 형상이 개발 발표되었고, 이들 공구에 의한 가공 사례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실현하고 있는 보고이다.
○ 우리나라의 대구텍(주)는 복합소재 가공에 대한 폭 넓은 해결책을 제공, 인성이 강화된 난삭재 가공용으로 내열합금에 뛰어난 신규 TC3020 & TC3030 세라믹 재종의 공구 등을 개발 시중에 공급하고 있다. 절삭공구의 제조기술로는 유럽, 미국이 선행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도 많은 진전을 보여 예로 탕가 로이사의 드릴 마이스터(L/D=12)나, 다이제트 공업 사의 자이언트 라디우스 cBN팁의 개발과 미쓰비시 머테리얼의 경취성 재료 가공용 엔드밀을 개발 시중에 공급하고 있다.
- 저자
- Toshitaka MATSUOK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64(2)
- 잡지명
- 機械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4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