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래 청정에너지 시장에서 주요 금속 역할

전문가 제언

청정에너지기술은 저탄소 에너지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에너지의 생산·저장·전달·소비단계에 적용되며, 온실가스 감축 및 신산업 육성에 기여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범위는 신재생에너지 기술, 효율향상 기술, 수요관리기술, 원자력 안전 및 해체기술, 스마트그리드 및 청정화력, CCUS 등이 포함된다.


청정에너지기술 발전에 따라 수요가 급증할 희토류 금속(rare earth metal)은 란탄 계열 15개 원소(원자번호 5771)와 스칸듐, 이트륨을 합친 17개 원소를 일컫는 말로 백금과 텅스텐처럼 희귀금속의 한 종류다. 화학적으로 안정되면서도 열을 잘 전달하는 성질이 있어 첨단디스플레이, 반도체, 컴퓨터, 풍력발전기용 모터, 하이브리드자동차용 2차전지 등의 소재로 쓰인다.

 

희토류 원소는 란타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튬(Pm), 사마륨(Sm), 유러퓸(Eu), 가돌리늄(Gd),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루테튬(Lu)과 원자번호 21의 스칸듐(Sc)과 원자번호 39의 이트륨(Y)을 추가한 17개 원소를 총칭한다.

 

전 세계 희토류원소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산출되고 있고 2010년부터 중국이 수출 통제에 나서면서 전 세계적으로 희토류 확보가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우리나라는 희토류의 91%를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일본, 미국에 이어 중국 희토류의 수출 대상국 5위를 차지하고 있어 안정적인 공급에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

 

정부가 확보한 서태평양 공해상의 망간각 독점탐사광구(3000규모)에는 4000톤 이상의 망간각이 매장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망간각은 수심(800~2500m)에 분포되어 있고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등이 함유돼 있다. 주요 금속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이 광구에서 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해야 하며 한편으로는 대체재 개발, 수입선 다변화, 국내 희토류 자원 탐사 및 개발에도 주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Leena Grandell, Antti Lehtil€a, Mari Kivinen, Tiina Koljonen, Susanna Kihlman, Laura S. Laur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95()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3~62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