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산화탄소 스위칭 고분자의 기본 원리

전문가 제언

최근 이산화탄소가 자극 반응 재료의 새롭고 창조적인 “방아쇠(유발체)”로서 떠오르고 있다. 이산화탄소는 풍부하고 값싸고 무독하며 환경적으로 적합하면서도 반복되는 사이클에서 시스템에 축적되지 않는다. 새롭게 개발된 이산화탄소 스위칭 재료 가운데 고분자 기반 재료가 특히 흥미를 끌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이산화탄소 스위칭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이산화탄소 스위칭 고분자와 고분자 나노 입자의 제조에 따른 이산화탄소 스위칭의 화학 적용 예를 소개하고 있다. 본 문헌의 목적은 독자에게 이산화탄소 스위칭에 대한 충분한 배경을 소개하고, 이산화탄소 스위칭 고분자의 합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스위칭에 의해 가능한 독특한 특성을 가진 재료의 디자인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의 연구를 통해 CO2-스위칭성을 갖는 고분자 제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주어진 용도에 적합한 스위칭 그룹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 중합 과정에서 적정 조건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의 연구 과제는 새로운 응용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현재 존재하는 용도를 목표로 만들어진 재료의 확대 개발에 집중되고 있다.

CO2는 스위칭 혹은 자극 응답 재료에 대한 이상적인 유발 물질이다. CO2는 자연친화적, 녹색적, 값싸고 풍부하면서도 시스템 내에 축적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양하고 많은 이산화탄소 응답 재료에는 고분자, 라텍스, 용매, 용질, 겔, 계면활성제, 촉매 등이 제조되어 왔다.

한국 정부의 에너지 관련부처는 2016년 2월 향후 5년 내 청정에너지 연구개발 공공투자를 두 배로 확대(3조원 규모) 계획을 밝혔다. 청정에너지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저감과 재활용을 위한 새로운 수단”의 하나로서 유용물로의 변환기술에 대한 산학연 공동 연구가 적극화되어야 할 것이다. 기술개발 및 경제성 등에서 아직은 불투명한 관계로 민감 기업이 주도적으로 하기엔 시기상조로 보인다.

저자
Michael F. Cunningham, Philip G. Jessop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76()
잡지명
European Polymer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8~215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