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 시뮬레이션과 라이프 사이클 평가

전문가 제언

수명 사이클 평가는 어떤 제품의 전 생애, , 원료에서 제품의 생산과 사용, 그리고 유용한 생애 종말 후 재활용과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이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계량화하는 것이다. 본문은 서로 다른 두 원료, 자트로파와 WCO에서 알칼리-촉매의 에스테르 전환으로 생산한 바이오디젤의 수명 사이클 평가 분석을 목표로 한다.

 

그 결과 본문에서 규정한 인간의 건강, 생태계의 질, 기후 변화 그리고 자원의 네 개 피해 범주에서 자원 범주를 제외하고 모든 범주에서 폐식용유 원료 바이오디젤 생산이 자트로파 기름 사용 바이오디젤 생산보다 더 환경 친화적임이 나타났다.

 

그러나 자트로파 기름은 수요에 따라 경작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데 비해 WCO의 사용 가능양은 바이오디젤의 수요가 아닌 식용유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나라는 바이오디젤 수요에 따른 바이오매스 원료는 자트로파 기름보다는 미세조류로 충당하게 될 가능성이 더 크다.

 

본문에서 결론으로 대규모 공업시설에서 원료의 선정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외에 공정 경제성 분석 결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점에서 경제성으로 볼 때 현재 바이오디젤의 상업화는 고-비용이 장애이다. 바이오디젤은 석유디젤의 US$0.35/l에 비해 비용이 $0.50/l을 넘는다. 미국의 세전 디젤가격 $0.18/l과 유럽의 $0.20/l에서 0.24에 비하여 현재 바이오디젤은 경제성이 없다.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49 2008, pp.2727~2741)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제조도 가축사료(단백질에서), 숙신산(탄수화물에서) 같은 부산물 생산을 병행해야 경제성을 갖출 수 있다고 보고 있다. (Applied Energy, 161, 2016, pp.300308)

 

우리나라는 포항공과대학의 조병훈, 차형준 등이 미세조류에서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 결과에 대해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일반적인 지질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해 에너지기술연구소의 이진석이 발표한 화학촉매에 의한 바이오디젤 생산이 있다.

 

 

저자
Sajid, Z., Khan, F., Zhang, 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85()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45~952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