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기기의 접근제어 기술
- 전문가 제언
-
○ 본 특허의 핵심기술은 가공용 기계와 같은 홈 기기의 사용자 계정을 통해 다양한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다수의 리소스에 대한 컴퓨팅기기의 접근을 허락하여 인터넷상에서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과 가치가 있다. 이러한 기술은 국내 IoT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 및 IoT 보안기술 분야에 파급될 수 있을 것이다.
○ 미국 Cisco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8~2009년 사이 이미 전 세계 인구수를 인터넷에 연결되어있는 단말기 수가 추월하며 IoT 시대에 이미 접어들었다고 발표했다. 2013년에 들어와서는 사물뿐만 아니라 사람, 업무, 데이터까지 모든 것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새로운 가치와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Internet of Everything(IoE: 모든 것의 연결)이라는 개념을 발표하며 기존 IoT 개념을 진화시켰다. 향후 2020년에는 전 세계 500억 개의 단말기가 인터넷으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초연결 사회는 M2M/IoT기반으로 진화될 것으로 보인다.
○ 구글은 본 특허기술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API 기능을 모두 오픈소스로 공개하면서 B2C(Business-to-Customer) 시장에서 표준화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IoT 단말기 보급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개발자 관점에서도 IoT 기술 적용의 문턱이 낮아져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어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스마트폰을 통한 집안의 조명 및 온도조절, 가전제품 동작제어 등과 융합된 스마트 홈 시장이 확대되면서 연평균 35%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 자동차(Automotive) 분야에서의 IoT 기술도 차량 도난방지를 위해 이용되면서 Emergency/eCall, Navigation 등 자동차 플랫폼 적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 세계적인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헬스케어 분야의 IoT 기기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업계의 노력이 요구된다.
- 저자
- AYLA NETWORKS,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6074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3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