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상인간 췌도는 림프세관이 없다

전문가 제언
췌도 밖의 혈관에 림프세관이 있지만 췌도 안에 있는 혈관 주위에 림프세관과 다른 조직 글림프 세관(glial lymph capillary 또는 glympathic transporter)이라는 조직이 있음을 밝혔다. glympath는 림프관과 비슷한 면역능력을 가지고 있는 지 아직 모른다. 만약 췌도 안에 림프세관이 있다면 정상 췌도가 아닌 당뇨병, 인슐린 종양 등 질병 발생 가능성을 제시한다.

 

췌도로 들어가는 혈관에 근접한 곳과 췌도 주위 부분에 있는 림프세관들이 췌도 면역에 관여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췌도 주위에 림프세관들의 그물망이 있어 1형 당뇨병 발병 시 이들 그물망에 면역세포들이 모이는 것으로 밝혔다. 췌도에 림프세관이 없다고 하지만 내분비종양, 인슐린 종양(insulinoma), 이식한 췌도에 림프세관을 밝혔다.

 

림프관은 효율적인 면역감시와 간질 공간의 생리적 압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데 췌도 안에 림프세관이 없어 림프 배출 작용에 대한 정보가 없다. 세포 밖 간질액은 림프세관을 통해 간질 공간을 이동하면서 림프 세포 외에도 독성물질, 불필요한 물질들을 제거해 세포조직을 건강하게 만든다.

 

그러나 췌도에 림프세관이 없음이 밝혀졌다. 췌도가 산소 부족, 면역세포 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해 췌도의 생존력이 작은 원인이 될 수 있다. 췌도 분리, 이식하는 데 이점을 유의해야 한다.

 

노화하면 췌도 안이 섬유화 하면서 림프세관이 생성되면서 다양한 질병(, 당뇨병)을 일으킴이 밝혀졌다. 림프세관 생성을 억제하고 글림프(또는 paravascular) 생성, 유지하는 치료제를 개발해야 한다.

 

저자
Erik Korsgren and Olle Korsgr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65()
잡지명
Diabe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04~1008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