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작업성(해체성)이 우수한 습기 경화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자동차나 전자기기 등은 고가의 많은 부품 소재들로 접합되어 구성된다. 근년 접합방법 중에서도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은 낮은 비용, 경량성, 이종재료의 접합 용이성 등과 같은 이점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접착제로 결합된 부품은 해체하기가 어려워서 소재의 재자원화에 장애로 되고 있다. 따라서 접착제로 결합되어있는 부품이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될 수 있다면 소재의 재활용은 물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해체성(재작업성)이 우수한 접착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 발명은 전자부품의 조립 시에 전자부품이 전자기기의 지정위치에 항구적으로 보존되도록 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전자부품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전자부품이 손상되지 않고 제거가 용이한 습기 경화성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한다. 특허청구권에는 기존 공지의 화학제품을 이용한 배합기술이 위주로 되어 있지만, 이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접착제 조성 중의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반응에서의 NCO:OH 비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우레탄계 습기 경화형 접착제로서 폴리올 혼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한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우레탄 프리폴리머 등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조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종래의 용제형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우수하고 무용제로서 작업환경이 양호한 속경성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도 개발되고 있다. 오공, 성도케미칼, 동성엔에스씨, 명광화학 등이 우레탄계 습기 경화형 접착제 생산에 참여하고 있다.

향후 핫멜트 접착제는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해체성 접착기술의 확보는 경제성 있는 제품 리사이클링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기반이 됨은 물론, 선진국의 환경정책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기전자, 자동차, 조선, 생활용품 등 전방 산업의 국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H.B. Fuller Compan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046846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5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