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oT 원격제어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전문가 제언

IoT의 대표적 플랫폼은 애플의 HomeKiT, 구글의 Brillo와 Weave, 삼성전자의 ATIK, ALLSeen 연합(LG포함)의 Alljoyn, OIC(OCF)의 IoTvity, oneM2M의 oneM2M 등과, 국내 경우 KETI의 oneM2M오픈소스, LG CNS의 oneM2M 등이 있으나 글로벌 시장에서 지배적 플랫폼이 부각되지 않고 있어 사업화 기회가 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모듈식 유연플랫폼의 모듈의 상품화 Line-Up이나 등급별 하이브리드 유연플랫폼을 상품화 하되 IIoT를 포함한 모든 산업의 서비스 수준별 콘텐츠 개발 및 해외시장 개척을 적극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서비스의 플랫폼 개발과 응용서비스 층은 데이터 마이닝과 분류, 메쉬업 인터페이스나 상황인지 알고리즘과 메커니즘 관련 SW 개발에 우선수위를 두고 목적성 인력양성의 세부 로드맵도 강화시켜야 한다.

 

본고 기술과 같은 응용서비스는 이미 확산이 가속화 되고 있다. 2020년 이후 인당 인터넷 연결기기 수 7대 이상으로의 증가와 2035년 150~200대로 증가 예상 속에서 IoT 서비스, 플랫폼, 통신네트워크, 단말기 중 서비스와 플랫폼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최근 IoT의 칩, 모듈 및 단말, 이동통신, 솔루션, 서비스의 가치체인에 따라 글로벌 플레이어들이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선도적 사업자들은 IoT 플랫폼과 서비스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글로벌 생태계 정보의 공유와 대응 활성화를 위한 전략 창출이 필요하다.

 

이 기술과 관련된 표준화 동향에서, AllSeen, OIC, Thread 등 표준화 컨소시엄과 ITU, ISO/IEC, IETF, ETSI, 3GPP, OneM2M 표준화 단체의 관심사는 공통플랫폼의 구축 혹은 기 확보한 플랫폼의 확대기반 통합 플랫폼에 있다고 볼 수 있다. IoT시스템 구현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 수급측면에서 개발 플랫폼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제작 및 솔루션 서비스가 비즈니스 대상이 될 수 있다. 플랫폼 개발에서 플랫폼 컴포넌트, 상황 인지 프레임워크, 서비스 컴포넌트, 웹서비스 컴포넌트 개발이 핵심이므로 해외 솔루션 중 우수 컴포넌트별 협력 벤치마킹을 통한 신규 개발과 특허 우회 및 적극적 PCT출원 전략이 필요하다.

저자
AFERO,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WO20160111916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84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