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산 CPS의 탄력적 제어설계 기술

전문가 제언

디지털 가상영역과 현실세계인 물리적 영역이 통합된 시스템을 가상물리시스템(CPS)은 인더스트리 4.0의 핵심 기술 분야로, 국내 중소기업에겐 아직 용어도 생소하고 이해도 제조 편향적인 부분도 있으나 산학연관 모두 변혁을 위한 파괴적 기술 영향력을 흡수하고 대응하려는 노력이 일부 진행 중이다. CPS 도입초기여서 실무가 아닌 이슈전파 위주의 지식전달자와 카피캣 아이디어 비율이 높은 것도 발전적이라는 환경이 부정적이긴 하지만, 기술 및 산업적 정책 거버넌스와 선도 기술과제로서의 추진을 긍정적으로 볼 필요는 있다. 본질은 용어조차도 생소한 중소기업에게 사업적 동인과 필요한 부분에만 실질적 지원을 제공하는데 있다. 시스템만이 아닌 에지컴퓨팅의 유효성도 인정할 필요가 있다.

CPS는 시스템 제어중심이고 IIoT는 통신기반의 객체 연동중심 기술로 볼 수 있다. 중소제조업을 위한 스마트공장화 기술로 IIoT 및CPS에 대한 인식제고와 방향성 정립이 필요하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촉진 조치가 필요하다. 니즈시장, 사업화모델, 시장표준, 산업 연동효율의 창출 면에서 임팩트가 필요하다. IIoT 및 CPS기술 기반의 플랫폼 및 네트워크 기술 및 SW개발에 대한 국내 산학연의 창작 연구와 정부의 상용화 개발 촉진정책의 가속화와 추적이 필요하다. IIoT 및 CPS기술 관련 표준규격, 포맷, 성능시험 방법, 보호 및 보안성 평가방법 등 관련 보안기술에 관한 국제표준화 선도와 주도권 창출활동의 검토가 필요하다.

 

CPS 추진의 주도적 국가이며 IoT와 CPS 병합 방향성이 특징적인 미국은 CPS 분야별로 구축 되어 있는 CPS 테스트베드와 데이터 센터를 기반으로 통합된 CPS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혁신 전문가가 참여한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독일은 CPS 기반 제조생산 플랫폼에서 제조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전체 생산과정을 통제하여 제조 공정의 최적화를 실현하고자 하고 있다. 일본은 효율적 사회서비스에 대한 CPS 통합플랫폼 기술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CPS 관련 다양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자율제어 기술로 상태변화에 대한 자율인식 및 상황인지와 인지모델 기반의 실시간 자율제어 기술을 내장한 CPS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경우 상품화와 사업화에 대한 평가 및 검증강화와 지원이 필요하다.

저자
SIEMENS AKTIENGESELLSCHAFT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WO20160053412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2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