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인선박의 지능형 항해 시스템

전문가 제언

무인 기술 장비 들 가운데서 상용화에 가장 접근한 것은 무인 선박으로 보인다. 군사목적의 잠수함이나 군함 등이 이미 개발 중에 있거나 완료된 상태로 이들 선박에 어느 정도의 기술을 가미하면 충분히 상업용 무인선박을 만들 수 있다. 무인선박 기술은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한 기술로 무인선박의 상용화의 걸림돌은 기술이 아니라 주변의 환경적 문제들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에 따르면 선박업계는 10년 전부터 무인선박의 가능성을 진지하게 논의해 왔으며, 무인선박의 운항으로 효율이 최대 20퍼센트까지 향상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도 20퍼센트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바다에서 운항되고 있는 거대한 화물선 50척이 내 뿜는 탄소는 지구상에서 운행되고 있는 모든 자동차보다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는 연구결과를 감안하면 무인선박은 보다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운송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계적인 선박·항공 엔진 제조업체 롤스로이스가 무인 선박을 만드는 사업에 착수했으며, 갑판 선원이나 선장 없이 항구에서 원격 조종만으로 전 세계 물동량의 90%를 차지하는 해운 서비스의 구현을 목표로 롤스로이스는 앞으로 10년 안에 무인 선박을 실제로 바다에 띄우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현행법상 무인선 항해는 금지돼 있으며, 세계 각국이 관련법을 고치기 위해 장기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2014년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Marina Bay)에서 열린 국제 무인선박 경진대회에서 자체 제작한 무인 선을 이용해 항로 인식 운항, 수중 음원 탐색, 부두 자동 접안, 부표 원격 관측, 수상장애물 인식 및 회피 등 5가지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서 미국 MIT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국내 처음으로 개발한 무인선박 시스템은 항법제어 컴퓨터와 영상처리 컴퓨터 등 제어시스템과 GPS와 관성항법센서, 수중음원 탐지장치 등 센서 시스템, 무선데이터 및 RF 통신 모듈 등 통신시스템, 추진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수로 조사나 해양 탐사, 영해 감시 및 정찰, 불법 어업단속 등의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J. Menro Larrazabal, M. Santos Pen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55()
잡지명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06~117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