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율 주행 자동차의 운전권한과 책임

전문가 제언

세계적인 교통량의 증가에 따라 현재의 도로 기반시설로는 증가하는 교통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하며, 자동차의 효율과 안전성을 개선하여야한다는 사회적인 요구도 증가하고 있어 자동운전은 운전자 과실을 줄여 교통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진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자동 운전은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가장 획기적인 기술로 단순한 운전 업무에서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환경경제적 차원에서의 잠재력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자동 운전은 운전자가 시스템에게 운전권한의 이관을 허용하고, 지능 시스템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감독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자동운전의 실현을 촉진시키는 기술은 시범단계에 진입하였으며,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운전자와 시스템의 효율적인 공조를 위하여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 신뢰감을 조성하고 시스템이 사용자의 한계를 인식하는 동시에 시스템의 제한성과 결합하여 자동운전시스템이 사용자 중심(user-centered)의 사회-기술적(socio-technical) 시스템으로 발전하여야 한다. .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NHTSA)은 자율 주행 기술을 레벨 0부터 레벨 4까지 총 5단계로 정의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인 부분적 자동 운전에는 도달했지만, 고도로 자동화된 자율 주행 자동차는 2025년 이후나 돼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HS 오토모티브는 2025년에는 저속의 자율 주행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고, 2030년에는 모든 속도의 자율 주행차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2035년에 전 세계 자율 주행 차의 연간 판매 대수가 1,200만 대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Google, Audi 등이 현재 레벨 3의 자율 주행 단계를 구축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는 현재 레벨 2의 자율 주행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레벨 3의 조건부 자율 주행 자동차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모델에 자율 주행 기술의 3단계에 해당하는 고속도로 주행 지원, 후 측방 충돌 회피 지원 등 최첨단 주행지원 기술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세계 시장에서 경쟁을 위해서는 삼성과 LG, 현대·기아차가 상생 구도를 만들어 자율 주행 핵심기술을 공동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
Dale Richards, Alex Stedm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53()
잡지명
Applied Ergono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83~388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