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약물주입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사출모듈(그림1의 18)을 부착하여 원통형 하우징과 주입사이드를 통해 약물이 주입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쇼크에 지극히 민감한 알레르기 반응성 화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0.5mm의 마이크로 바늘을 이용하여 적정량의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는 국내 약물주입 의료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의 약물주입 제어기술 설계분야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부피가 작아 생체에 삽입이 가능하며, 치료약물의 주입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약물조절튜브를 이용한 약물조절장치가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된바 있다. 그간의 롤러(roller) 등을 이용한 약물조절장치의 약물유량 조절에 대한 단점을 해결한 것이다. 약물조절 부재를 이용한 약물조절장치는 일정한 홈을 따라 약물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재 등을 이용하여 약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링거액 또는 특수주사제 등 약물의 양을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투입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으로 평가받고 있다.
○ 국내의 한 인체성분분석 전문기업은 웨어러블 의료기기 최초로 홈쇼핑에서 판매를 개시한바 있다. 이는 내장된 가속도센서를 통해 수면패턴(깊은 수면인지, 얕은 수면인지, 깨어났는지 등)을 자체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재활치료 환자가 글러브를 끼고 게임을 하면서 손가락과 손목, 팔을 단련할 수 있는 웨어러블 의료기기를 개발한바 있다. 이 기술력은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각 신체 부위의 재활기구를 순차적으로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시장은 2013년 5억 달러에서 2017년에는 55억 달러로 약 10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헬스케어형 웨어러블 기기 스타트업 기업들이 확대되고 있다. 이 특허기술과 같이 마이크로 바늘을 이용한 최적의 약물주입 기술을 밴치마킹 하여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WITTEMAN, Amber Helene Tamara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64266
- 잡지명
- WO 2016 0642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8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