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단 급전식 MIG용접시스템

전문가 제언

MIG용접과 같은 전극 소모식 가스메탈 아크용접법은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송급되고 슬래그가 발생하지 않아 용접작업이 능률적이며 전류밀도가 높아 용입이 깊기 때문에 조선, 에너지, 중화학 설비의 제조분야에서 활용도가 높다. 특히 선박과 해양구조물을 포함한 용접구조물의 경우 MIG용접의 용착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하는 탄뎀형 MIG용접, 전극의 극성을 변화시켜 주는 가변전극형 MIG용접, 이중전극 소모식 DE­MIG용접 등의 시공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선진기술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고능률 아크용접 기술 중에는 용적이행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여 정확히 재점호 타이밍을 예측하여 재점호 시의 아크전류를 급감시키는 방법을 구사함으로써 스패터 발생을 방지하는 CBT(Controlled Bridge Transfer) 프로세스 방법과 스패터 발생을 억제하는 Cold Arc, CSC(Controlled Short Circuit), CMT(Cold Metal Transfer) 프로세스 등이 있다.

 

최근 고속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출력제어의 고속고정도화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고속 통신장치 등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됨에 따라 용접로봇의 조절기(Teach Pendant)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채택되고 용접라인의 공정품질관리의 시각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국내에서도 해외의 용접기술개발 추세에 맞추어 이에 대한 용접기술의 개발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능률 아크용접기술은 중화학산업, 에너지산업 등의 중요 구조물과 부품류 제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부가가치가 높은 화학장치, 원자력발전설비 등의 품질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능률 아크용접기술의 국내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본문에서 정리한 2대의 용접전원을 사용하여 용융금속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2단 급전식 MIG용접기술은 용적과 용융지의 온도를 조절하여 용융금속의 표면장력과 젖음성을 알맞게 유지하고 용접비드의 형상과 용입깊이를 향상시켜 주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과 해양구조물을 포함한 용접구조물의 용접시공 능률을 높이는데 많이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Seto Masar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34(2)
잡지명
溶接學會論文集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0~157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