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착제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폴리올레핀은 가격이 저렴하고 가볍고 강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가공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직포 형태로 제조되며 이들 부직포는 기저귀, 생리, 물 티슈와 같은 위생용품과 에어 필터나 수처리 필터 등을 비롯하여 자동차 내장재, 실내 장식용 카펫 등으로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 이 발명은 올레핀-기초 중합체로 된 백-시트(배면 시트)간의 접착에 적합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경우 주어진 용도로 조성물을 활용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변수인 고화온도를 가지며 너무 고화가 빠르면 접착결합이 부족하고, 반면 고화가 너무 느리면 다음 공정을 위해 접착강도가 불충분하다. 따라서 절감된 고화 시간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을 필요로 한다.
○ 한편 최근 낮은 점도를 갖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점증하는 접착제 분야는 극히 낮은 평균분자량(Mw 50,000이하)과 좁은 분자량분포 (Mn/Mw: 2.0∼4.0)를 갖는 중합체 성분을 필요로 하나 극히 낮은 분자량의 올레핀-기초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낮은 점도로 인해 취급과 가공이 어려워 상업적 규모의 생산을 어렵게 한다.
○ 이 발명은 접착력이 우수하고 신속한 고화시간을 갖는 PBPE(프로필렌 기초 플라스토머 또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에틸렌에서 유래한 단위를 15wt%까지 함유한 A)프로필렌 기초 플라스토머나 엘라스토머(PBPE)로 이루어지며 (i)Koenig B-값이 1.0이하; (ii)프로필렌 몰 당 전 불포화가 0.010∼0.030%; (iii)밀도 0.860~0.890g/cc; (iv)177℃에서의 용융점도 1,000∼15,000 mPa.s; 및 (v)평균분자량 20,000~50,000g/mole을 갖도록 설계한 것이다.
○ 국내의 경우도 휴비스에서 부직포용 저융점사를 상업생산 중이고 코오롱글로텍(주), 도레이첨단소재(주) 등은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에 관한 특허를 출원하는 등 연구 개발이 활발하며, 오래전부터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메탈로센 촉매 등과 함께 PBPE(프로필렌 기초 플라스토머 또는 엘라스토머)에 관해 연구가 추진되어 왔고 상업 생산되고 있다.
- 저자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2901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7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