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티타니아계 플럭스코어드 와이어 용접금속의 미세조직과 충격인성

전문가 제언

 

염기성계 용접재료를 사용한 용접부의 충격인성은 용접금속의 결정립 크기의 영향을 받는다. 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를 미세화시키면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단위 면적당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효를 많게 하고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기술요소가 된다.

 

용접재료의 플럭스에 첨가되는 Ti 합금성분은 용접금속 중의 과잉 산소와 반응하여 비금속 개재물을 생성하는데 용접금속 중에 산소함유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비금속 개재물의 생성량이 변화한다. 따라서 용접금속의 양호한 충격인성을 얻기 위해서는 Ti 합금성분을 적정량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탄소함유량은 티타니아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금속을 포함한 합금강 용접금속의 충격인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즉 탄소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합금강 용접금속의 강도는 증가하는 대신 연성과 충격인성은 감소한다. 그리고 탄소함유량이 조그만 증가하여도 충격인성시험의 천이온도가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충격인성은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따라서 티타니아계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용접금속의 충격인성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접금속에서 0.030.10%의 탄소함유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복제 성분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박, 해양구조물의 용접을 위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높은 충격인성과 우수한 작업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FCAW(flux cored arc welding)에 사용하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용접재료 전체 중량의 515% 정도의 비금속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용접재료 제조업계는 용접금속의 Charpy 충격흡수에너지가 60에서 101.2J(74.7ft­lb) 정도이고 100% CO2를 보호가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접부의 품질과 용접효율성이 우수한 고염기성 슬래그 시스템의 용접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개발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Hosoi Koic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34(2)
잡지명
溶接學會論文集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1~92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