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웨어러블 기기의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인식 기술

전문가 제언

이 특허기술의 핵심은 사용자의 의류에 직접 웨어러블 기기를 이식하여 내장된 모바일 컴퓨팅 모듈을 통해 사용자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측정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탐지된 데이터를 아이덴티티 플랫폼과 연계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생체측정 정보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상업적 가치가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은 시스템서버(그림1105)에서 사용자기기(그림1101A)와 모니터링 모듈(그림1124)을 제어하여 사용자인증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핵심장치인 모니터링 모듈을 사용자의복에 초소형 칩 형태의 모듈로 직접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점은 기기를 잃어버렸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개인정보가 유출과 추후 재사용 시 별도의 사용자인증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점은 국내 웨어러블 기기 설계(착용) 방식과 사용자인증 기술 분야에 파급될 수 있을 것이다.

 

Wearable EXPO Japan 2016(2016.1.13~15, 동경 빅사이트)에서는 안경형(도시바의 Wearvue TG-1, Brother 공업의 Head Mount Display, ColorLink Japan의 스마트 선글라스 등), 의류/직물형(GUNZE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IoT 속옷, 아사히화성섬유의 신축케이블-Rooden )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들을 선보였다. 특히 의류/직물형 웨어러블 기기의 출시가 돋보인다. 이 특허기술의 핵심이 반영된 것 같다. 이에 국내 관련 기업들도 의류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가 되면서 웨어러블 기기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설치형(installable), 휴대형(portable)을 거쳐 착용형(wearable) 기기가 디스플레이 산업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20161분기 글로벌 스마트워치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대폭 감소하였다. 이는 적은 배터리 용량과 저장용량, 관련 앱 부족 등으로 파악된다.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폰에 종속된 시장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기술력 향상과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저자
HOYOS, Hector;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WO2016003705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0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