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가정 전기전자 고형폐기물의 자원순환

전문가 제언

본 조사연구의 목적은 도시가정용 소형 전기전자 기기와 그 폐기물의 재사용 가능성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총괄적 방법론을 평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소형의 도시가정용 전기전자 기기 10(진공청소기, 다리미, 전자레인지, 토스터, 샌드위치 메이커, 믹서, 과즙기, 키친-보일러, 히터 및 헤어드라이어)에 대한 육안조사와 기능성 및 안전성 검사를 정의했다.

 

이렇게 정의한 검사 시험을 적용한 후에, 평가 대상의 10종 기기에 대하여 재사용 프로토콜(protocol)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의 형태로 정의했다. 이러한 방법론은 10종의 가정용 전기전자 기기의 재사용 가능성을 시험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재사용 기업에 유용한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계발한 방법론을 적용한 후에, 재사용되거나 폐기되는 전기전자 기기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카테고리로 구분했다: 수리하지 않고서도 이차적 소비자가 적정하게 가동해 이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전기전자 기기, 품질의 손상이 약간 있긴 하지만 간단한 간이수리나 분해소제(refurbishment)로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전기전자 기기, 재사용할 수 없어 최종적으로 폐기되거나 리사이클 되어야 하는 전기전자 기기 등이다.

 

여기서 계발한 방법론을 96단위의 87.7kg의 샘플에 대해 적용한 결과, 조사 대상 전기전자 기기의 30.2%는 재사용의 가능성이 남아있지 아니하여 리사이클 과정으로 편입시켜야 하는 것이었고, 67.7%는 간단한 간이수리나 분해소제 후에는 재사용의 가능성을 평가해야 하는 것이었으며, 단지 2.1%만이 약간의 클리닝/cleaning 작업을 거친 후에 곧바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sWEEE의 재사용 및 폐기의 기준을 유럽수준으로 높여야, 비합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모바일-폰 등과 같은 sWEEE의 수출입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EEE의 선진국으로서 sWEEE의 폐기나 재사용 기준을 명확히 해야만 선진 지위를 지속해 갈 수 있다.

저자
Maria D. Bovea, Valeria Ibanez-Fores, Victoria Perez-Belis, Pilar Quemades-Beltra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3()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4~217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