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X계 발포 추진제의 연소성 평가
- 전문가 제언
-
○ J. A. R. Ruiz 등은 초임계 CO2를 이용하여 시중의 무정형 폴리머인 PMMA와 PS의 미세 발포에 대한 발포 거동이나 다공성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불럭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1-단계 배치공정으로 폴리머에 대해 연구했다.
○ 최근 W. Yang 등은 PMMA를 기반으로 RDX를 사용한 가연성 발포 추진제 재료연구를 초임계 CO2를 사용한 압력 냉각 방식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총포 분위기에서 미세 다공성 발포 추진제의 소화 과정과 연소 거동에 관한 그들의 속성을 연구하기 위해 통풍 밤 시험과 밀폐 밤 시험을 처음으로 수행하였다.
○ 통풍 밤 시험에서 소화 과정은 기공 내부 표면에서 점화가 일어날 뿐 아니라 내부 기공을 통하여 연소 가스가 침투하는 심층 연소 모드이다.그래서 연소 정도가 증가하면, 침투지역의 구멍 크기와 깊이는 증가했다.
○ 밀폐 밤 시험에서는 점화 압력이 10.98 MPa에서 15.0 MPa로 증가할 때, 연소 시간은 짧아졌다. 그러나 질량 연소 속도와 동적 vivacity는 일정하여 연소 메커니즘은 일치했다. 다른 충전 밀도에서 질량 연소 속도는 밀폐 용기 압력이 40MPa 이상이면, 고온 연소 가스가 내부 구멍으로 유입되어 대류현상으로 내부 기공을 점화시켰다. 고온과 저온 시험에서도 정상적으로 연소가 일어났다.
○ 120mm 박격포용 RDX계 압출 추진제 장약은 국내 방산 업체에서 개발하여 시험 중이다. 카트리지 case를 비롯하여 총포 탄약에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ADD를 비롯하여 방산 업체들의 관심이 많은 분야이다. 열가소성 수지나 포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반응성 발포재료 등의 발포 추진제에 대한 관심도 국내 연구소나 업체에서 연구개발이 필요한 분야라 판단된다.
- 저자
- Weitao Yang and Sanjiu Yi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41()
- 잡지명
-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6~141
- 분석자
- 박*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