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의 혐기성 소화 바이오에너지 잠재력
- 전문가 제언
-
○ 파키스탄은 농업국가로서 바이오매스 신재생에너지 잠재력이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바이오매스 이용을 통하여, 현재 에너지위기를 제거하는데 정책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가축배설물, 생활폐기물 및 농업폐기물 등은 이 나라에 주요한 바이오매스 자원이다.
○ 본 연구는 파키스탄에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 잠재력 및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기술적 경로에 초점을 두었다. 가스발생장치와 혐기성소화의 표준 생물반응기에서 설계변수 및 그들의 경제성 비교 등을 파키스탄의 환경적 조건에 대하여 중대하게 여기고, 혐기성 소화 기술 개발을 대단히 심각하게 고찰하고, 도시와 농촌 환경에서 바이오매스 자원 활용에 상이한 시나리오를 토론하였다.
○ 생물계폐기물 바이오매스(생활폐기물, 농업폐기물, 삼림폐기물 및 가축배설물 등) 에너지화 기술개발은 연소, 가스화 및 고형연료 열분해 등의 열화학적 처리 및 발효, 에스터 교환반응 및 혐기성소화 등의 생화학적 처리 등이 있다.
○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을 추진하여, 당시에 활용된 바이오 가스는 12만 9천 배럴로서, 약 282억원 원유수입 대체효과를 나타낸바 있으며, 현재는 바이오가스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도를 높여, 자동차연료에 사용하는 압축천연가스 및 액화천연가스로 전환하여 상업화를 급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 국내 12개소 유기성폐기물 혐기성소화에서 연간 메탄 113만 톤이 발생되지만, 바이오가스 열병합발전은 아직 실증화 단계로서 에너지 전환율은 약 4%정도이고, 소화액 재활용 사업기술 개발도 미흡한 실정이다.
○ 바이오가스 이용방식은 가스보일러, 열병합발전 및 정제장치 등의 3가지 방식이 있는데 이들 방식에서 에너지 이용효율 분석 및 바이오에너지 최종이용까지 에너지 수지 및 소화액 재활용 검토가 필수적이다.
- 저자
- Abdur Raheem, Mohammad Yusri Hassan, Rabia Shakoo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59()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64~275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