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돈분 연속 건식발효에서 온도의 영향

전문가 제언

본 연구는 반응기 온도(15, 25 및 35℃)가 고형 돈분 건식 혐기성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유기물부하 3.46kgVSm?³ d?¹에서 4.5L크기의 하향식 유동형 혐기성 반응기를 사용한 반 연속식 고형 돈분 건조소화 실험을 습식(기존) 결과와 비교 발표하였다.

발효온도 15℃에서 건식혐기성소화 과정에서 유기물 과부하 및 산성화로서 메탄수율이 0.036 LCH₄g?¹VS로서 낮으며, 25℃에서는 0.226 LCH₄g?¹VS, 35℃에서는 0.237LCH₄g?¹VS 등이었다. 25℃에서는 15℃보다도 6.24배 많았으나, 35℃에서는 25℃보다도 겨우 4.86% 높았다. 35℃에서 낮은 바이오가스 생산은 습식과 비교할 때에 미생물 활동에 암모니아 억제가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소규모 건식혐기성 소화 반응기 온도를 35℃로서 작동할 경우에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가 곤란할 경우가 있음으로서, 바이오가스 생산과 암모니아의 미생물 활동 억제 방지 및 순 에너지 회수 등을 감안 할 때에, 최적 건식 혐기성소화 온도는 25℃이라고 판단되었다..

우리나라는 2012년 현재 22개소에 음식물, 음 폐수, 가축분뇨 등의 습식중온 혐기성소화시설이 가동되고 있으나, 소화액 재활용관리 대책미비, 소화조 재료 산도 6.5 이상유지, 암모니아 저해작용, 소화액 스컴(scum)파쇄 등의 문제 솔류션이 미흡하였다.

우리나라 주요 혐기성 소화시설의 기술특성은 체류일수 20 - 30일 중온 습식이 많으며, 휘발성고형물 제거율은 약 80%이고, 바이오가스 발생율은 0.6 - 1.0㎥ 바이오가스/kgVS 등이며, 향후에 혐기성 소화액 재활용 기술을 확보하지 않으면 혐기성 소화처리 지속가능성이 곤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된다.

고 온역 소화(50 - 60℃)처리는 10일정도 체류시간과 병원균사멸과 안정화에 유리하나, 겨울철 낮은 외기 온도에 열 수요 대책, 소화액활용 미비 등으로 인하여 중 온역 소화(35 - 37℃)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저자
Liangwei Deng, Chuang Chen, Dan Zheng, Hongnan Yang, Yi Liu, Ziai Ch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77()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47~252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