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만과 루신 아미노산: 루신 아미노산의 역할과 루신 기반 비만치료법에 관한 전망

전문가 제언

비만은 지방세포뿐 아니라 백색지방조직에 존재하는 다른 세포에서도 생기는 질환의 일종이다. 비만인 사람의 경우 인슐린저항성, 글루코스 내성의 손상 및 당뇨병 등의 유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만에 대해서 상당한 신경을 쓰고 있다. 루신(leucine)은 곁가지가 있는 아미노산으로서 비만 관련 여러 대사반응에 중요한 조정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수많은 연구 자료에서 밝혀지고 있다. 특히 비만과 비만 관련 대사질환에서 루신 다이어트요법의 치료효과가 매우 높이 평가되는 연구들이 최근에 많은 전문 학술지에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자료를 토대로 해서 루신이 이들 질환의 미래 치료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관련 연구자들은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루신이 지방조직의 미토콘드리아 생성을 촉진하는 기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루신 유래 미토콘드리아 생성촉진은 인슐린저항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을 자극하는 물질로 알려진 루신이 이러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개발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루신은 아미노산의 하나로서 음식물 섭취로 인체에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물질로서 체내 지방감소 촉진, 체중감소, 체내에너지 대체기능 등 인체에 미치는 루신의 건강효과 때문에 루신을 비롯한 다른 곁가지 아미노산이 함께 함유된 아미노산 보충제와 수액제품들이 제약사에 의해 시판용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특정 질환을 표적으로 하는 루신치료제의 개발은 미래의 도전분야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루신의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루신의 보총요법에 대한 논쟁점들이 해소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테면 복부지방의 질량, 지방생성 유전자발현 및 지방합성효소의 활성이 루신의 무첨가다이어트에 의해서 급격하게 감소된다는 것과, 그리고 장시간의 루신 보충요법에 의해 인슐린저항성과 당뇨병 징후들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만에 대한 루신 다이어트의 치료효능을 위해서는 서로 상반되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충분한 의학적 증빙자료의 축적이 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저자
Kang Yao, Yehui Duan, Fengna Li, Bie Tan, Yongqing Hou, Guoyao Wu, Yulong Yi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7(8)
잡지명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14~727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