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유체공학기술을 이용한 CsPbX3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합성
- 전문가 제언
-
○ 최근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발광물질로 각광을 받기 시작한 납할로겐 화합물 CH3NH3PbX3 와 CsPbX3의 나노결정에 대한 연구가 본 궤도 에 오르고 있다. 이 물질들은 OLED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하는 양자 점 발광 다이오드(QLED)의 핵심 발광체로 기대가 되고 있다. 본 분 석물은 CsPbX3를 다루고 있다.
○ CsPbX3의 광발광 특성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이 물질들을 보다 통제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합성하고자 하는 합성기술의 진전도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본 분석물의 내용은 엄밀히 말하면 실용적으로 대량생산에 바로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방법은 아니다.
○ 그러나 여기 소개된 미세유체공학적인 접근은 소량의 시약을 사용하여 합성의 매개변수를 신속하게 최적화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배치시스템에서는 단시일에 도저히 달성할 수 없는 결과를 몇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도구로서는 그 위력이 대단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국내에서는 아직도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발광체로 유망시 되고 있는 CsPbX3와 같은 전무기질 납할로겐 화합물 나노결정에 대한 연구는 일천하다. 더구나 본 분석물의 내용과 같은 보다 기초적인 분야는 생각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닐가 하는 의구심조차 든다.
○ 다행스러운 것은 국내 연구진의 유기-무기 납 할로겐 화합물(CH3 NH3PbX3) 나노결정에 대한 연구가 태양전지 분야에서 활발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경험을 CsPbX3와 같은 전 무기질 납 할로겐 화합물로 발전시킨다면 본 분석물이 제공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세계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기술우위 선점을 위한 종합적인 연구 프로그람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연구범위는 차세대 QLED를 위한 유기-무기 와 전 무기질 납 할로겐 화합물 나노결정분야의 기초 및 응용이다.
- 저자
- Ioannis Ligno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6()
- 잡지명
- Nano Lett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69~1877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