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각인에 의한 플렉시블 투명전극용 초박형 금 나노선의 자기 조립
- 전문가 제언
-
○ 최근 ITO를 대신하는 플렉시블 투명전극의 연구개발에서 용액을 기반으로 하는 인쇄 내지는 코팅방법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기술이 보다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비경제적인 진공기술이 전혀 관련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분석물도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연구결과물이다.
○ 콜로이드성 나노잉크를 직접 나노각인시킴으로써 일단계 형상화 작업으로 투명하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며 플렉시블한 금속(금) 그리드 전극을 만드는 과정과 특성을 잘 기술하고 있다. 금 나노선의 자기조립 특성을 이용한 고분자 스탬프의 응용으로 비교적 정교한 그리드를 제조한 것이 매우 인상적이다.
○ 그러나 본문에서도 지적되어 있듯이 시트저항이 이론적으로 추산할 수 있는 것의 무려 7배에 달하고 있다. 그 이유를 그리드의 구조적인 결함, 입자경계면 산란, 나노기공, 선폭의 변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보다 정교한 그리드의 제조에 관해서 할 일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국내에서도 금속, 특히 은 나노선과 그래핀을 응용하는 플렉시블 투명전극에 대한 연구는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투명전극용 금 나노선 그리드의 제조에 관한 것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금속 나노선에 대한 연구사례들은 상당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최근 KIST-고려대 연구팀이 개발한 니켈/니켈-금 다층 나노선이 발표되어 금속소재 초고강도화에 돌파구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다시 말하면 연구개발의 동기만 부여된다면 국내 연구진의 연구능력이 보다 정교한 금 나노선 그리드의 제조에도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이란 것이다. 엄밀하게 이야기한다면 꼭 투명전극이 아니라 하더라도 금 나노선 그리드의 응용분야는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관련 과학기술자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한다.
- 저자
- Johannes H.M. Maurer,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6()
- 잡지명
- Nano Lett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21~2925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