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밀링가공에 대한 각종 재료의 절삭 특성
- 전문가 제언
-
○ 공작기계의 5축?다축가공에 의한 성능 향상이나 자동화?무인화 등으로 가공 정밀도와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기술로 AM(Additive Manufacturing: 적층 조형기술)에 관련한 기술의 개발은 증가 일로이며, 5축 공작기계를 사용한 평(flat) 엔드밀?레이디어스(radius) 엔드밀의 절삭 날 포락(包絡) 형상제어에 의한 곡면의 고 능률?고 정밀도 가공의 연구가 성황리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초정밀에 고속 가공기는 물론, 절삭공구의 개발에도 선점을 확보하기 위해 전심을 기울이고 있다.
○ 일본의 Yamazaki mazak(주)는 3D프린터 기능을 갖는 공작기계 인테그랙스iAM를 5축 가공이 가능하게 하여 보다 복잡한 형상의 부품 제조를 실현시켰고, AM 기능을 진화시켜 AM 용도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기계를 개발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또 선삭과 머시닝센터에 AM기능을 갖게 한 하이브리드 복합가공기의 AM은 가공물에 노즐 선단으로부터 분출하는 금속 분말을 파이버 레저 열로 용융, 응고시켜 적층 금속을 쌓아 올려 3D 형상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또 5축 동작에 대응 테이블을 경사시켜, 가공물을 기울인 상태로 회전시키면서 적층하는 등 종래는 제조 곤란한 형상의 제조가 가능도록 한 기계도 등장하였다.
○ 절삭공구에 관해서는 일본의 Sumitomo 전기공업(주)는 선삭공구로 담금질 강 가공용 코팅 cBN 시리즈의 고 정밀도 날 끝 사양(LE/LT/LS형)과 고 능률 날 끝 사양(ES형)을 개발하였다. 고 정밀도 날 끝 사양은 거스러미나 삑삑거림 등을 억제, 가공 치수 정밀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고 능률 날 끝 사양은 크레이터(crater) 마찰이나 결손을 억제, 고속 고 이송 가공에서의 공구 장 수명화와, 날 끝 사양의 변화를 확대함으로 가공 코스트의 저감에 기여하고 있다.
○ 고속 머시닝센터나 터닝센터 및 초정밀 절삭 공구는 매일이 다르게 진화하고 있으나 각종 난삭재(고 경도, 취성 재료 등)에 대한 절삭 특성의 데이터베이스는 아직 미흡한 것이 현상이다. 이를 위해 W, Mo, Cr등 일부 난삭재에 관하여 절삭 특성을 조사 보고한 자료가 있다.
- 저자
- Masahiro ANZA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64(4)
- 잡지명
- 機械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6~31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