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기성소화 개선을 위한 전-처리 전략
- 전문가 제언
-
○ 국내 바이오연료 생산기술은 1990년대에 대형 혐기성메탄발생장치를 설계?운전함으로서 지금은 세계적 기술수준으로 산업폐수처리 플랜트 수출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생물처리 프로세스로는 분해하기 어려운 리그닌, 타닌 및 Humic acid 등이 폐수에 존재할 경우에는 AOPs/생물학적 복합프로세스가 요구됨으로 고효율 산화프로세스를 시급히 개발할 필요가 있다.
○ 혐기성소화로부터 자연발생 되는 바이오가스의 회수는 괄목할만한 환경적 이익, 경제적 이익 및 사회적 이익을 제공하게 된다. 부적절한 폐수관리는 하천 혹은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됨으로 적절하게 관리되는 혐기성소화 시스템을 거치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통상적인 폐기물관리를 하게 되면 온실가스 공해와 악취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 가장 최근 개발된 혐기성처리기술은 유출수로부터 바이오매스를 분리하는데 막을 사용한다. AnMBRs(anaerobic membrane bioreactors)는 바이오매스의 충분한 체류와 탁월한 처리효율 때문에 고형분과 병원균이 없는 고품질의 유출수를 제공하게 된다. AnMBRs는 미생물 군을 특별하게 잔류시킬 수 있어 폐수중의 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 이글에서는 공급 원료의 전처리가 잘 설계되었을 경우 메탄잠재력과 혐기성 소화율은 상승하게 된다. 하수슬러지 전처리는 대규모로 실행하게 되며 특히 메탄잠재력과 소화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증기-폭쇠 열적 전처리는 현장에서 생성된 열 소비로 슬러지 위생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잔사와 관련된 금화는 슬러지 용해성과 생물학적 이용효율을 높이기에 적합하다.
- 저자
- Helene Carrer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199()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86~397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