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최신유행 막은 높은 염 제거, 저-에너지소비 및 높은 생산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 동안 수처리 필터시장은 다우·니코덴코, 도레이, GE, 지멘스 등이 독점하였으나 우리나라도 1994년 최초로 RO 막 개발에 성공하여 최근 미국, 호주, 싱가포르 등에 수출하면서 선진국과 경쟁하고 있다. 현재 RO막 부문에서 시장 점유율 10%를 차지하고 있어 앞으로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미래기술로는 복합-막 하이브리드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 최근 개발된 반응기 타입은 하나의 반응기로부터 유출수를 더 적은 공극 사이즈를 갖는 막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반응기이다. 흐름공정에서 30~140미크론 스틸 막을 갖춘 산 가수분해 반응기는 점질성의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는 침출수를 혐기여과하거나 또는 물에 잠긴 혐기반응기에서 OFMSW(organic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를 처리하는데 사용한다.
○ 새로운 재료는 일반적으로 약간의 개선으로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노 혼합식 막은 지난 10년 동안 지금의 RO 막에 사용되었든 표준화된 화학적 합성폴리머 제품보다 훨씬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다. 나노 혼합식 막 기술은 2010년 초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특별한 제조라인을 설치하고 상업화할 프로세스는 현재 시험운전 중에 있다.
○ 이 글에서는 하이브리드 폐수처리시스템을 ①물리-생물적 ②물리-화학적 ③화학-생물적 ④물리-화학-생물적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분류하였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시스템은 안정되고 지속적인 전압을 생산하고 독립시스템에 비교하여 처리효율이 높다. 그리고 발생된 바이오에너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소요되는 처리운전비용을 차감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 저자
- Pei FangTe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5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35~246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