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도성 점착시트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의 요체는 두께 1-20 mm의 전자부품 및 박형 휴대용 전자기기의 조립에 사용할 수 있는 단면 점착 형 열전도성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면 점착 형 점착시트를 사용함으로서 전자 부품 혹은 전자 기기의 조립 중에 재작업 등 필요에 의해 두 부품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점착시트에 별다른 무리를 주지 않고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현재 통상 사용되고 있는 양면 점착 형 열전도성 점착시트의 경우, 취급 중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점착제 층 내에 열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캐리어로 삽입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경우에는 z 방향의 열전도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에 미세구멍을 뚫어 사용하거나, 구리 포일과 같은 금속 포일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최근의 특허 상에 다수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면 열전도성 점착시트의 두께 및 가격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 본 발명의 단면 점착 형 열전도성 점착시트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의 하나로 제안된 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이나 두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금속 포일을 삽입한 형태의 라미네이트를 점착제 층의 한 면에 접착하여 열 방출 면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허 내용은 일견 특허로 성립되기에는 매우 단순해 보이지만, 이에 대한 검토 및 회피 방안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 현재 열전도성 점착시트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3M이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아모그린텍, 두성산업, 켐코, 율촌화학 등 다수의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주 개발 방향은 x, y, z 방향의 열전도성을 가지는 점착시트의 두께를 줄이 것으로 나노섬유와 금속포일의 라미네이트를 캐리어로 사용하는 특허들이 3M 및 아모그린텍에서 출원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허에 대해서는, 그 특허 내용의 단순함이나 아모그린텍 등 국내 업체의 기술 수준으로 보아 충분히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Nitto Denko Corp.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US20160152872
- 잡지명
- THERMALLY-CONDU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1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