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성형 관통자(EFP) 형성의 모델링
- 전문가 제언
-
○ 폭발성형 관통자(EFP, Explosively formed penetrator, Explosively formed projectile)는 금속판을 화약의 폭발력으로 변형시켜 멀리 떨어진 장갑을 효과적으로 관통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화약장치로 성형작약의 한 가지 특수한 형태라 할 수 있다.
○ 통상적인 성형작약은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깔때기 모양의 금속 콘으로부터 초고속 금속제트를 발사하여 가까이 있는 장갑을 깊게 관통한다. 그러나 EFP 장치에서는 접시 모양의 금속판이 유선형 슬러그 모양의 관통자로 바뀌어 멀리 떨어져 있는 비교적 얇은 장갑판을 관통한다. 성형작약 제트가 화약직경의 수 배 거리에서 10배 정도 두께의 장갑을 관통하는 데 비해 EFP는 화약 직경의 수 백배의 거리에서 1.0배 두께의 장갑을 관통한다.
○ EFP는 항공기용 폭탄이나 대전차 무기체계의 탄두로 적용되어 발전해 왔으나 최근에는 급조 폭발장치로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라크 반군이 다국적군을 공격하는 데 EFP 장치를 널리 사용한 바 있다. 폭풍이나 금속파편을 이용하는 통상적 폭발물로는 장갑차를 무력화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이 보고서는 영국 The University of Edinburgh의 F. Teixeira-Dias 등이 급조 폭발장치에 대한 대응능력 개발에 도움을 주기위해 특정한 형태의 EFP를 모델링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한 내용의 연구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그들은 이 기법을 적용하여 라이너의 물질, 라이너 두께, 화약, 기폭 방법 등이 관통자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우리나라도 대전차 무기체계 개발과 관련하여 EFP 탄두 개발 능력과 시뮬레이션 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 Teixeira-Dias 등의 연구결과는 특정한 형태의 EFP 장치에만 적용될 수 있고 비행 중 관통자 변형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지만 EFP 장치의 설계변수와 관통자 성능의 정량적 관계를 구하고 비행안정을 위한 날개 형성 기법을 제시한 것은 우리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D. Cardoso, F. Teixeira-Dia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93()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16~127
- 분석자
- 송*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