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u합금에 Zn과Ni의 첨가가 성형 작약탄 라이너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성형작약탄의 장갑 관통현상은 먼로 효과에 의거 원추모양의 성형작약라이너(SCL)가 용융되어, 원추의 축을 향해서 고온 고밀도의 금속 용융젯트를 고속으로 분출하여 장갑을 뚫게 되는데 가능한 긴 금속 용융젯트가 필요하며, 성형작약라이너(SCL) 재료의 연성, 밀도, 음향속도가 커야한다는 잘 알려진 이론에 따라 W-Cu라이너가 쓰여 왔다.
○ 여기서는 W-Cu라이너 재료에 Zn과 Ni을 넣어서 기계적 성질변화에 따른 장갑관통성능 개선 여부를 조사한 것으로 W-Cu합금에 Zn Ni을 넣으면 기계적 성질은 개선이 되나, 그 SCL들의 관통성능은 감소하고, Zn,Ni 모두 그 SCL들의 관통깊이를 감소하게 하고 관통 채널을 굽게 만들며, 거기다가 Zn는 관통구멍을 크게 한다.
○ 전차장갑을 관통시키기 위한 노력은 선진국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의 하나로 그 수단은 운동에너지탄, HEAT(High Explosive Anti Tank:고폭)탄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운동에너지탄은 고밀도와 selfsharpening(탄 끝이 장갑 관통 중 계속 스스로 날카로워 지는 것) 두 가지가, HEAT탄은 고밀도 특히 W-Cu합금의 고밀도화가 관통력을 늘이는데 제일 중요한 요소로 되어있다. 원소를 넣어서 관통깊이를 늘릴 새로운 합금을 찾는 다는 것은 여기에서 본 대로 어려운 일이며 텅스텐을 녹이는 일은 그것을 담을 용기가 없으므로 불가능하다.
○ W(3,410℃)과 Cu(1,083℃)는 융점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두 금속은 같이 녹일 수 없음으로 소결에 의한 텅스텐 고체사이로 구리를 녹여 집어넣는 함침법을 써서 W-Cu를 만들기 때문에 텅스텐과 구리사이에는 공공등 결함을 피할 수 없으며 따라서 밀도에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텅스텐과 구리의 화합물을 생성 이를 나노크기로 만들어서 특별한 분위기 아래에서 환원과 소결을 동시에 시킨 재료로 만든 SCL을 구성하면 약 40%정도의 관통길이가 늘어난다. 이는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얻은 연구 결과로 국제특허로 보호되고 있으며 국가중요기술로 분류되고 있다.
- 저자
- Ziying Zhao, Jinxu Liu ,Wenqi Guo, Shukui Li, GuohuiW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54()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actory Metals and Hard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0~97
- 분석자
- 허*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