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충격에 의한 불균질화약의 둔감화와 수치적 모델링
- 전문가 제언
-
○ 충격 둔감화는 화약에 따라 정해지는 일정 범위의 일차 충격을 불균질 화약에 가하면 충분한 발열 반응 없이 거의 모든 열점(hot spot)들을 없애버려 보다 강한 이차 충격이 가해져도 기폭이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하게 비 활성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비록 정상적인 폭발파가 비활성화 구역에 진입하더라도 점점 약화되어 소멸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 화약의 충격 둔감화는 암반 발파나 성형작약 제트에 의한 탄약의 충격기폭 등 실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분야일 뿐만 아니라 화약의 충격 기폭에 대한 기본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분야이다. 충격 둔감화 현상은 화약의 일정 부분이나 전부가 폭발하지 않는 것을 원할 때는 유용한 특성이지만 전체 화약이 완전 폭발하기를 원한다면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이다.
○ 이 보고서는 중국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의 T. Hussain 등이 기존의 화약 점화 및 성장 모델인 Lee-Tarver 모델을 화약의 충격 둔감화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확장한 내용의 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그들은 확장 Lee-Tarver 모델을 LS-DYNA 유체역학 코드에 구현하고 이중 충격실험, 반사 충격실험, 폭발 억제실험 등을 모사하여 실험 결과와 정성적으로 잘 맞는 것을 확인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둔감화약이나 둔감탄약 개발과 관련하여 화약의 충격 특성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적으로도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개발 대상의 둔감 조건 만족 여부에 주로 관심을 기울이다보니 충격 기폭의 기본적 메커니즘이나 충격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모델링하기 위한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의 둔감 탄약 개발 능력을 한 단계 더 높이기 위해서는 T. Hussain 등의 연구 결과가 참고가 될 것이다.
- 저자
- T. Hussain, L. Yan, H. Fenglei, L. Y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13(2)
- 잡지명
-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ergetic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57~379
- 분석자
- 송*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