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셀(Multi-cell) 전기화학반응기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섬유폐수의 연속적 처리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은 “다중셀(Multi-cell) 전기화학반응기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섬유 폐수의 연속적 처리”를 주제로 하여 서론, 실험, 결과와 고찰, 결어로 구성되어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섬유 폐수의 처리에서 조작변수가 전기분해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반응기의 성과를 평가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섬유 폐수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조사한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조작변수 영향이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폐수에 가까운 화학적 산소요구량 수준에 원 섬유 폐수를 희석해 획득된 폐수를 이용해 조사되었으며,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폐수가 적절한 조건 하에서 처리되고 반응기가 아주 잘 작동되어 섬유 폐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238-249mgL-1에서 43-54mgL-1로 감소될 수 있었음이 제시된다. 아울러 실험 결과는 다중 셀 전기화학 반응기가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섬유 폐수에 대해 좋은 대안임을 분명히 나타내고 있다.
○ 섬유산업은 중요한 오염원으로 염료, 유기화학물질, 계면활성제와 같은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폐수를 대량으로 배출해 환경 악화를 초래한다. 화학적 응고/응집 방법은 색도 제거에 비효율적이며 다량의 슬러지(Sludge)를 생성시키며, 오존화, 광촉매, 펜톤산화 같은 고도산화공정은 탈색과 화학적 산소요구량 제거가 빠르나 고가이다. 특히 생물학적 방법은 경제적이고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독성 및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분해에 한계가 있어 더 효과적인 기법이 요구됨에 따라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전기화학 처리가 부각되고 있다.
○ 국내에서는 섬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물리적, 화학적,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과 고도산화공정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재래적인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상술한 제약과 결점 이외에 효과나 적용 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해결책으로 생물학적 방법과 전기화학 처리방법의 결합에 의한 섬유 폐수의 연속적 처리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정책지원 조치가 필요하다.
- 저자
- Yunfei Li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286()
- 잡지명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71~577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