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휘도 메틸암모늄납할라이드 나노결정의 극성용매 사용 없는 콜로이드법 합성

전문가 제언

오늘날 하이브리드 유기금속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재료는 우수한 광전자 특성과 저렴한 용액가공에 의해 태양전지 연구에서 인정받은 후 차세대 저비용 고효율 발광다이오드(LED) 개발에 집중 연구되고 있다.

 

태양전지 제조용 하이브리드 재료에는 셀 기판 위에 박막코팅 시 제자리합성법이 이용되고 한국화학연구원(전남중, 노준홍 등)은 이 기술에서 파워변환효율(PCE) 20%의 공인기록을 갖고 있다. 세계적 선도 연구그룹에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팀과 경희대 임상혁 교수팀 등이 있다.

태양전지에서처럼 박막 합성형 하이브리드 재료를 이용한 LED 연구에서 포항공대 이태우 교수(김영훈, 경희대 임상혁 교수, 영국 Friend )은 구랍 전류효율(CE) 42.9cd A-1, 외부양자효율(EQE) 8.53%로 최고 성능을 보고하였으나 양자수율 성능은 보이지 않았다. 현재 하이브리드 재료를 콜로이드양자점(QD) 또는 나노결정(NC)으로 합성하여 LED 등에 사용하는 연구가 중국 등 전 세계에서 뜨겁게 진행되고 있다. 아직 한국 내 연구는 안 보이는데 정부가 앞장서 지원이 시급한 때이다.

 

페로브스카이트 NC의 특징은 CdSe 기반 NC에 비해 넓은 띠 간격의 쉘을 추가하는 부동태층 없이 최고 90%의 높은 PL 양자수율을 갖고, 고휘도 및 색 순도가 높다. 음이온 교환반응에 의한 조성 조정 가능성 보유(색상 변환). 현재까지 개발된 콜로이드제법 가능.

 

콜로이드제법에선 납할라이드 소스와 알킬암모늄할라이드를 양호한 용매(극성 DMF )에 용해한 후 올레산(OA)과 올레일아민(OAm)의 계면활성제 함유 톨루엔이나 옥타데센(ODE)과 같은 다량의 비극성 불량용매에 주입한다. 이 낮은 용해도는 페로브스카이트 NC를 침전시킨다.

 

극성용매는 페로브스카이트의 분해 등을 일으키기 쉬워 이 저자들은 사용하지 않고 PbX2(Pb2+X-소스)를 함유한 OA(H+ 소스)/OAm/ODE 용액 내 메틸아민 주입으로 이온반응에 의한 (수율 ~70%와 최초 3개월 콜로이드 완전성이 보존되는) NC합성을 집중 설명하였다. MAPbI3 MAPbBr3의 나노큐브, 나노선, 나노판 합성/광전자 특성 등을 소개했다.

저자
O. Vyborny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8()
잡지명
Nanoscal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278~6283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