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금속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발광다이오드

전문가 제언

 

최근 태양전지에서 입증된 페로브스카이트 재료의 우수한 광전자 특성과 저렴한 용액가공 기술을 디스플레이 기술에도 적용하는 연구 열기가 높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재료는 할로겐 원소의 조성 변경과 양자점 크기 조정에 의한 두 방법으로 다양한 색의 맞춤 조정이 가능하다.

 

고휘도, 색 조정가능성, 좁은 PL 발광 선폭으로 색 순도가 높고, ~90%PL 양자수율이 보고되는 (많은 중국인이 연구하는) 유기금속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OHP-QD) 기술은 대면적의 균일한 막 제조가 도전이다. OHP-QD의 농도가 묽어 농축 시 응집 및 손상되기 쉬워, 스핀코팅/인쇄에 의한 전기발광 LED 제법에서 연속 막 형성이 힘들다.

 

이 글은 대면적의 균일한 OHP-QD 막을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일 단계 딥 코팅 방법을 소개하고, 청색, 청록색, 녹색, 오렌지색, 적색을 방출하는 다색 OQ-LEDOHP-QD의 할로겐 조성 또는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조에 성공한 내력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최대 전류효율 3.72A-1, 외부양자효율(EQE) 1.06%를 녹색 OQ-LED의 휘도 2398m-2에서 달성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OHP 박막형 LED에서보다 크게 수하고 무기계 페로브스카이트 CsPbBr3 QD 기반 LED보다도 우수하다.

박막이 주변 대기 조건에서 합성되었지만 (수밀형) 패키지 OHP-QD LED는 습도 50% 공기에서 최소 일주일 장기안정성도 보여 대면적 디스플레이나 레이저 같은 응용에의 가능성이 증명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박막형 유기금속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OHP) 기술은 태양전지에서 공인받은 KRICT의 전남중, 노준홍, 세계적인 박남규 교수팀, 경희대 임상혁 교수팀이 있다. 이 밖에도 유재철, 김영훈 등이 있다. 지난해 12, 이태우 교수 팀(임상혁 교수 등)LED용 전류효율과 외부양자효율에서 톱 실적을 보였지만 PL 양자효율은 언급이 없다. 무기계 CdSe 등 콜로이드 QDLED 연구에는 배완기, 이창희 등의 더 많은 석학이 있다.

 

중소기업형 먹거리 창출용 LED 기술에 유망한 페로브스카이트 QD 연구는 더 늦기 전에 정부가 앞장서 연구자금 등으로 적극 지원해야 될 것이다.

저자
W. De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26()
잡지명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797~4802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