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사망,질병,그리고 건강 관련 넉아웃 유전자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인간의 유전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변이중 특히 유전자의 기능을 잃어버리게 하는 넉아웃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특히 이미 개발된 염기서열결정기술을 이용하여 인간 유전체 및 엑솜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넉아웃을 발견하고 이를 인간의 유전병치료와 신약개발에 응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대부분의 유전자에서 다른 전사산물(transcripts)의 상대적인 기능상의 중요성을 결정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일부 기능상실 변이인자가 멘델법칙에 의한 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것도 검정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위해서 기능상실 작용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전략이 개발되고있으나 아직 불완전하다.
○ 일반적으로 특별한 유전자형을 가진 소수의 개인에 대한 정보만이 있고 표현형이 다를 때 유전자형으로부터 표현형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 증상이 없는 성인에 대한 연구에서 현재 단일 유전자가 원인인 것으로 알려진 병에서 초기 발병 유년기 장애를 변형해서 회복시키는 능력이 있는 변이인자를 조사하기위해 체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특별한 집단유전학적인 특성에 대한 선발없이 개인의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것은 넉아웃을 알아내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현재 이형 기능상실 변이인자에 한해서 실시되고 있다. 임의로 교잡이 이루어지는 집단에서 이형상태에서 1000명중 1명에서 나타나는 변이인자는 동형상태에서는 백만명중 1명꼴로 존재한다. 따라서 개인의 염기서열결정으로 동형돌연변이를 발견하는 것은 아주 큰 샘플사이즈를 필요로 한다.
○ 유전체 염기서열결정기술은 국내에서도 여러분야에서 응용되고있으며 특히 병을 유발하는 유전자 및 넉아웃에 대한 연구도 세계수준에 도달해있다. 특히 국내 벤처기업인 M사에서는 여러종의 염기서열결정 및 유용한 유전자 개발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저자
- Vagheesh M. Narasimh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22(4)
- 잡지명
-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41~351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