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피부전달용 활성물질 충전 입자

전문가 제언

 

   ○ 본 발명(출원: GRACE GMBH & CO. KG)은 피부 활성물질을 다공성 실리카에 담지 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무정형 상태로 담지되며 액체에 혼합되어 피부 도포 시 활성물질의 피부 침투 능력이 나노결정 현탁물보다 크며 도포 사용감도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 Pilloni 팀은 실리카-카페인 나노 복합재의 카페인이 피부 흡수가 거의 없이 피부 표면에 잔류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Pharm. Dev. Technol. 18, 626, 2013, pp.626633). 단국대 신원상 교수는 다공성 실리카 입자의 표면을 고분자로 개질한 스마트 약물 전달체를 발표하였다(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144, 2016, pp.229237 ).

 

   ○ Zeynep Ulker 팀은 실리카 미립자를 생물활성물질의 담체 및 피부 전달체로 하는 이머징 플렛폼에 리뷰를 발표하였다(An emerging platform for drug delivery: Aerogel based systems,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77, 2014, pp.5163). 나노결정 활성물질의 경피투과에 대한 연구로는 Rosa Pireddu 팀의 “Novel nanosized formulations of two diclofenac acid polymorphs to improve topical bioavailability“가 있다(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77, 2015, pp.208215).

   ○ 생물활성물질을 피부에 침투시키려면 일반적으로 경피투과촉진제를 사용한다. 화학적 촉진제로 경피투과촉진제는 지방산, 계면활성제, 에스테르, 알코올, 피롤리돈, 아민, 아마이드, 테르펜, 인지질을 사용하여 각질층의 배열 질서를 흩뜨리고 각질층의 케라틴이나 지질 성분을 용해/추출하고, 각질층의 지질 결정구조를 유동화 또는 용해하며 활성성분의 각질층으로의 분배를 개선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침투촉진제는 피부 지질을 흩뜨리면서 피부를 자극하는 문제가 있다.

저자
GRACE GMBH & CO9.KG et al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WO20160041992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5
분석자
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