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형 자기양성자-되튐 중성자 분광장치 보정기술

전문가 제언

자기양성자-되튐(MPR, magnetic proton recoil) 중성자 분광장치는 중수소-삼중수소(DT, deuterium-tritium) 중성자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강력한 도구로 간주되며, 현재 관성 가둠(inertial confinement) 핵융합 시설 및 대형 Tokamak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MPR 중성자 분광장치로 측정된 중성자 에너지 스펙트럼은 내적 파쇄 성능과 중성자 수율 및 핵연료 이온 온도와 면적밀도의 비파괴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본문에는, 중국원자력연구소(CIAE, China Institute of Atomic Energy)에서, HI-13 탠덤 가속기(tandem accelerator)로 MPR 분광장치 및 중성자 발생장치로 수행된, 중성자 분광장치 특성화 인자인 에너지 분해능(ER, energy resolution) 및 중성자 검출효율(NDE, neutron detection efficiency) 보정연구에서 개발된 특정기술과 정확도 및 실험결과 그리고 Monte Carlo 모사결과들이 제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내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서강대학교가 2008년도에 실리콘 같은 고체의 내부에 조성된 계면을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급 생체분자를 손상 없이 0.1㎚의 정밀도로 비파괴 분석할 수 있는 중성자 분광장치 개발에 성공하여 세계적 기술로 인정받은바 있는 한편, 국가핵융합연구소가 핵융합의 성공요인인 초고온 플라스마 가두기 시간 달성을 2008년에 0.1초로부터 시작하여 55초까지 성공한 이후에 2016년도 목표 100초 달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인 세계최고의 기술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소형 자기양성자-되튐 중성자 분광장치 보정기술에 대한 결과는 국내 DT 핵융합 플라스마에 대한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비파괴시험용 중성자 분광장치 보정기술 분야의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Jianfu Zhang, Xiaoping Ouyang, Xianpeng Zhang, Jinlu Ruan, Guoguang Zhang, Xiaodong Zhang, Suizheng Qiu, Liang Chen, Jinliang Liu, Jiwen Song, Linyue Liu, Shaohua Y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816()
잡지명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A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5~130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