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노출에 관한 조사결과와 향후 연구방향: 인도의 사례
- 전문가 제언
-
○ 미세먼지는 인체 건강 뿐 아니라 생태계, 기후, 산업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악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응책들이 강화되는 추세이며, 실내외의 미세먼지 배출원들(sources)을 식별하는 연구와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건강 위해성에 관한 연구들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대기오염물과 대기 중 미세먼지 뿐 아니라 공공시설, 학교, 상업시설 등 많은 사람들이 밀집된 실내의 공기 질과 이로 인한 건강 위해성에 관한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미세먼지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건강에 더 큰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직경 100nm 미만의 극초 미세입자(ultra-fine particle)에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에서도 미세먼지의 입자크기를 세분화시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평가되어야 한다.
○ 국내에서도 미세먼지 노출의 건강 위해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장기간 노출에 따른 역학적 연구결과가 빈약한 실정이다. 앞으로 장기간의 미세먼지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코호트 연구(cohort study)가 필요하며 여러 대기오염물과 미세먼지가 인체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건강에 미치는 영향들도 밝혀져야 한다.
○ 특히 대기오염에 취약한 어린이나 노년층 그리고 심혈관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가 시급하다.
○ 저가의 미세먼지 농도측정기를 개발하여 개인이 휴대하거나 설치간격을 좁혀서 미세먼지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를 보다 세분화시켜 얻을 수는 농도 측정망이 구성된다면, 미세먼지 노출량 평가와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예방 대책 수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PallaviPant, SarathK.Guttikunda, RichardE.Peltie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47()
- 잡지명
- Environment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80~496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