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태양광발전과 태양열온수기 개발 - 저탄소에너지를 향한 지름길

전문가 제언

이 자료는 중국의 태양에너지 이용 특히, 태양광발전(PV)과 태양열온수기(SWH) 기술의 개발현황과 시장현황을 상세히 분석하고 각각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중국이 세계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PV 제품과 관련하여 중국 PV산업의 주요 문제점으로 수출 대상국인 미국과 EU의 반덤핑 규제를 지적하고 있다.

 

최근 중국은 높은 기술이 요구되는 세계 PV시장에서 절대강자가 되고 있지만 한편으로 높은 기술이 필요 없고 비용이 저렴한 SWH에 대해서도 오래전부터 풀뿌리 기술로 많이 이용되어온 역사를 바탕으로 국내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 정부는 PV 기술개발과 보급에 많은 지원을 하면서 관련 산업을 육성해왔는데 앞으로는 SWH의 대량 보급이 온실가스 감축과 저탄소에너지 보급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여 SWH에 대해서도 대폭적인 지원을 하면서 보급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전력 생산 위주의 재생에너지 이용정책을 실시해왔으며 결과적으로 재생에너지 이용 중에서도 주로 PV 및 풍력발전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산업에너지 공급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는 전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PV와 풍력발전 개발이 정부의 중요한 정책적 목표가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우리나라 가정에서의 사계절 온수 이용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SWH 이용에도 더 많은 정책적인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SWH의 대량 보급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저탄소사회로의 전환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심야전력을 사용하는 온수기 보급을 권장하였으나 앞으로는 태양열 이용과 태양광발전을 병행할 수 있어 효율이 높은 PV/SWH 시스템의 보급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SWH 보급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저자
Frauke Urban, Sam Geall, Yu W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6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531~542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