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에서 작동하는 용량 형 가속도계
- 전문가 제언
-
○ 대개의 가속도계는 질량-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단진동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다. 이 단순한 구조의 장치가 그 어느 센서보다도 오랫동안 과학기술과 산업기술에서 핵심적인 센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013년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Transducer 2013에서 발표된 논문들에 대한 통계에 의하면, 전체 96개 센서 분야 중에서 가속도계와 관련된 논문수가 네 번째로 많았다.
○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속도 센서의 크기와 정확도는 향상되어 왔지만, 질량-스프링의 기본 형태는 거의 변화가 없이 이어지고 있다. 근래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등 휴대용 기기가 속속 등장하면서 이들 기기에 장착을 위한 다양한 설계와 구조의 MEMS 가속도계가 등장하고 있다.
○ 요즘의 추세는 단순한 miniaturization에 그치지 않고 특정 목적에 적용하기 위한 기능성 센서가 주목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고온 적용을 위한 용량 형 가속도계 역시 기능성 센서의 한 사례로서, 유럽연합(EU)의 금성 탐사사업 착륙선에 탑재되어 460 °C의 고온에서 장기간 작동이 가능한 센서 개발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 비록 적용 분야와 목적은 다르지만, 국내 연구계와 산업계에서도 다양한 용도의 가속도계 활용과 함께 새로운 개념의 센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KAIST 등이 이 분야의 국내 연구개발 활동을 선도하고 있다. 이들 연구팀이 집중하고 있는 신 개념의 충격 센서와 광섬유 센서 등은 세계적으로 첨단 기술로 분류될 수 있다.
○ 세계적으로 가속도계를 포함한 음향·진동 센서의 최고 제조사는 덴마크의 B&K(Bruel & Kjaer) 사로 알려져 있다. 이들 글로벌 제조사들 보다는 못하지만, 국내에도 다수의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며 맞춤형 센서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의 의욕적인 국내 우주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형태의 고온용 센서에 대한 수요도 커질 것이다. 지금부터 대비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 저자
- Mikhail Asiatici, Andreas C. Fischera,c, Henrik Rodjegardd, Sjoerd Haasla,Goran Stemmea, Frank Niklaus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6
- 권(호)
- 238()
- 잡지명
-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61~368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